24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최신 메모리 반도체 트래커에 따르면 2분기 HBM 시장에서는 SK하이닉스가 62%(출하량 점유율 기준)로 1위를 차지했고 마이크론(21%)과 삼성전자(17%)가 뒤를 이었다.
특히 삼성전자는 마이크론에 밀려 3위로 내려앉았는데, HBM3E에 대한 엔비디아 퀄 테스트가 완료되지 않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최근 주요 거래처향(向) HBM3E 제품 인증과 내년 HBM4 수출을 기반으로 사업을 회복하면 삼성전자가 2026년엔 30% 이상의 점유율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정구 카운터포인트 책임 연구원은 "중국은 CXMT를 중심으로 HBM3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동작 속도와 발열 등 기술적 문제를 아직 해결하지 못해 출하는 내년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이라며 "최근 이슈가 된 화웨이의 자체 HBM 역시 일반적인 HBM 제품 대비 속도가 절반 이하에 불과한 초기 단계 제품으로 판단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장기적으로 SK하이닉스와 삼성이 HBM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면서도 "지정학적 이점을 지닌 마이크론과 중국의 물량 공세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며, 기술 리더십 확보와 맞춤형 제품 개발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