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서 아마존·엔비디아 등 첨단 기업과 협업
두산그룹은 박지원 부회장을 비롯한 두산그룹 경영진이 이달 22~25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 지역을 찾아 아마존, 엔비디아, 퍼플렉시티 등 글로벌 AI 업체들을 방문한다고 23일 밝혔다.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 유승우 ㈜두산 사장,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부사장 등 주요 계열사 CEO가 참여하며 김도원 지주부문 최고전략책임자(CSO) 사장을 포함한 각 사 CSO도 동행한다.
두산 경영진은 이 기간 동안 아마존, 엔비디아 등 빅테크 본사에서 AI 기술 현장을 직접 살피고 관계자들과 미팅을 가질 예정이다. 또한 스탠포드대학교 AI 연구소 '스탠포드 HAI(Human-centered AI)' 연구진을 만나 AI 기술 활용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 맥킨지, BCG 등 컨설팅 업계 전문가들과도 AI 혁신을 주제로 머리를 맞댈 계획이다. 아울러 퍼플렉시티, 피지컬인텔리전스 등 피지컬 AI와 에어전틱 AI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도 만난다.
두산은 이번 출장이 AI 시대 경쟁우위 선점을 목표로 AI 혁신 로드맵을 구상하기 위한 행보라고 설명했다.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선 최신 기술을 채택하고 활용하는 것뿐 아니라 AI 전문가 확보, AI 친화적 조직 문화 구축, AI 기반 업무 선진화 등 전 분야에 걸쳐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경영진의 생각이다.
박지원 부회장은 동반한 경영진에게 "활용 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AI를 접목해야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다"며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과 경영진은 지난 22일 첫 방문지로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찾았다. 아마존은 AI 기반 음성비서 알렉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객 패턴 분석, 물류창고 운영, 로봇 자동화 등 다양한 업무 분야에 AI가 자리 잡았다. 또 아마존 웹 서비스(AWS) 클라우드 부문에서는 개발자 및 기업용 AI 도구를 내놓는 등 AI에 막대한 투자를 해오고 있다.
두산 경영진은 이날 아마존의 AI 기반 제조 및 사무 생산성 개선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본 뒤 물류센터를 방문해 현장에 적용된 AI 및 로보틱스 기술을 확인하고 협업 방향을 모색했다. 이를 토대로 제조 분야뿐 아니라 기업을 구성하는 전 부분에 걸친 AI 혁신과 이를 통한 생산성 향상 과제를 도출해 낼 계획이다.
이후 GPU 초격차 기술력을 통해 AI 생태계를 선도해 나가고 있는 엔비디아를 방문해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에 대한 기술 현황과 사례를 확인했다. 각 사업 부문별 피지컬 AI의 비전과 미래전략에 대한 논의와 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두산은 에너지·건설기계 등 영위하고 있는 산업 특화형 피지컬 AI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피지컬 AI는 인간 수준의 의사결정 능력을 지닌 AI가 실제 기계나 로봇과 같은 실물 하드웨어에 적용돼 다양한 작업환경 속에서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 및 행동까지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경영진의 엔비디아 방문과 향후 협업은 이를 보다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두산 측은 전했다.
두산 경영진은 이어 두산과 산학 협력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스탠포드 HAI에서 최예진 교수 등 주요 연구진을 만나 AI 기술 현황 전반에 대해 심도 있게 학습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피지컬인텔리전스, 퍼플렉시티 등 피지컬 AI, 제조, 사무, 투자, 인사 등 AI와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 및 전문가 집단과 만나 협업을 논의하고 향후 빠른 의사진행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두산 관계자는 "두산은 그동안 AI 관련 조직을 강화하고, 경영진을 대상으로 AI 집중교육을 진행해 왔다"며 "각 사 경영진은 이번 출장을 계기로 AI 혁신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며 실제 사업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황예인 기자
yee961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