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9일 화요일

서울 31℃

인천 31℃

백령 29℃

춘천 33℃

강릉 32℃

청주 32℃

수원 31℃

안동 34℃

울릉도 29℃

독도 29℃

대전 32℃

전주 33℃

광주 33℃

목포 31℃

여수 32℃

대구 35℃

울산 33℃

창원 32℃

부산 32℃

제주 31℃

부동산 한은 강남본부 입찰도 손 뗀다···신규 인프라 보류 확대

부동산 건설사 포스코이앤씨 사망사고 후폭풍

한은 강남본부 입찰도 손 뗀다···신규 인프라 보류 확대

등록 2025.08.19 15:08

김소윤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포스코이앤씨, 반복된 중대재해 사망사고로 비상경영 돌입

신규 인프라 수주활동 잠정 중단 결정

대형 국책·공공사업 입찰에서 잇따라 철수

현재 상황은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 홍천양수발전소, 한국은행 강남본부 신축 등 대형 입찰 연속 불참

공공부문 상반기 6273억원 수주로 2위 기록했으나 하반기 추가 수주 제동

기존 수주사업 및 우선협상 대상 사업은 정상 진행

맥락 읽기

신규 수주 중단은 안전·신뢰 회복에 방점

대형 공공입찰 경쟁 약화, 유찰·재공고 가능성 증가

민간 정비사업 시장에서도 보수적 전략 전환

주목해야 할 것

포스코이앤씨 복귀 시점은 안전관리 체계 재정비 성과에 달려 있음

업계 전반에 안전 이슈 및 입찰 경쟁 구도 변화 영향 예상

신규 인프라 수주 '잠정 중단' 기조 가시화가덕도·홍천양수·한은 강남, 3건 잇단 불참올해 공공수주 2위였는데···수주모멘텀 제동

한은 강남본부 입찰도 손 뗀다···신규 인프라 보류 확대 기사의 사진

중대재해 사망사고가 반복된 여파로 비상경영에 돌입한 포스코이앤씨가 '신규 인프라 수주활동 잠정 중단' 기조를 구체화하고 있다. 대규모 국책사업인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에서 발을 뺀 데 이어, 홍천양수발전소 1·2호기 토건공사(종합심사낙찰제) 입찰에서도 물러섰다. 한국은행 강남본부 신축공사(실시설계 기술제안) 역시 내부적으로 참여를 접는 방향으로 정리되면서 대형 기술형 입찰에서 연쇄적인 이탈이 가시화됐다.

1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잇따른 현장 사고 여파로 '인프라 사업 신규 수주활동 잠정 중단' 방침을 세우고, 당초 참여를 검토하던 대형 공공입찰에서 세 건을 연달아 비우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사업(턴키)은 컨소시엄 참여를 정리한 데 이어, 전날(18일)에는 한국수력원자원(한수원)이 개찰·평가를 마친 '홍천양수발전소 1·2호기 토건공사'(종심제)는 본입찰에 나서지 않으며 최종적으로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낙찰됐다. PQ(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단계에선 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포스코이앤씨가 적격으로 분류돼 3~4파전이 예상됐으나, 포스코이앤씨가 본입찰 명단에서 빠지면서 경쟁이 줄어들었다.

이어 '한국은행 강남본부 행사 신축공사'에도 불참 방침을 내비쳤다. 본지 취재 결과, 포스코이앤씨는 내부 사정을 이유로 본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최종적으로 정리했다. 실시설계 기술제안 방식의 이 사업은 당초 삼성물산과 포스코이앤씨의 양자 구도로 점쳐졌으나, 핵심 참가자의 이탈로 경쟁 구도의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한국은행이 역삼동 현 부지에 강남본부 청사를 신축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본입찰은 다음 달 초에 예정되어 있으며, 핵심 참가자의 이탈로 단독 응찰 시 유찰·재공고 가능성이 거론된다.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상반기 공공부문에서 6273억원을 수주하며 계룡건설산업에 이어 2위를 기록했고, 민간 정비사업에 더해 공공 인프라로 외연을 넓혔다. 그러나 잇따른 현장 사고 이후 '신규 인프라 수주활동 잠정 중단' 기조가 작동하면서 하반기 대형 기술형 입찰에서 추가 수주에는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회사는 신규 입찰은 당분간 보류하되, 이미 수주했거나 우선협상대상자로 지목된 사업들은 그대로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올해 상반기 기 수주한 '인천대로 일반화 2단계', '새만금 지역간 연결도로 2공구', '고양창릉 2공구 조성' 등은 그대로 진행한다. 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하는 서울 도심복합사업의 신길2구역에 대한 참여 의지도 유지 중이다. 7월 시공사 선정 공모에서 단독 응찰로 1차 유찰된 뒤 재공고가 진행되고 있다.

결국 포스코이앤씨의 선택은 단기 수주보다 안전·신뢰 회복을 우선하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다만 일부 대형 공공입찰은 당분간 경쟁의 축이 약해지고 유찰·재공고 변수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포스코이앤씨는 최근 굵직한 사업을 따내며 포트폴리오를 넓히던 상황이었지만 안전 이슈로 신중한 행보로 전환한 것"이라며 "향후 복귀 시점은 안전 체계 재정비 성과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주력으로 해왔던 민간 정비시장에서도 보수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송파한양2차 재건축 입찰을 포기했고, 개포우성4차는 이탈 가능성이 거론된다. 성수2지구 역시 본입찰 참여가 미정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