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금융투자협회는 회계기준원으로부터 만기를 정하지 않은 폐쇄형 펀드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FV-OCI)로 처리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아 회계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밝혔다.
회계 처리 방식이 FV-OCI로 인정됨에 따라 인프라 투자 구조의 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계기로 올해 기획재정부가 18조5000억원 이상 규모로 발굴 예정인 환경·도로·철도 등 신규 인프라 사업에서 민간 자금 조달이 원활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민간투자심의위원회를 통과한 사업들의 집행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금융회사가 펀드를 통해 초장기 인프라 사업에 참여할 경우 해당 평가손익이 매년 당기손익(FV-PL)에 반영될 우려가 있어 부담이 컸다. 이에 2020년 2조1000억원 규모였던 인프라펀드는 지난해 6000억원 규모로 축소됐다.
정부 정책과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기재부가 추진 중인 출자전용 인프라펀드 집행과 신용보증 공급을 2조원에서 4조원 규모로 확대하는 방안이 민간 자금 유입을 뒷받침하면서 인프라 투자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자산운용 전무는 "관계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장기 인프라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 출시가 가능해졌다"며 "금융투자협회는 금융당국과 협의해 업계의 펀드 규약 마련을 지원하는 등 영구폐쇄형 펀드가 민자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다혜 기자
kdh033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