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부동산 '월세 전성시대' 가속화···올해 거래량 100만건 넘었다

부동산 부동산일반

'월세 전성시대' 가속화···올해 거래량 100만건 넘었다

등록 2025.08.17 13:55

차재서

  기자

공유

서울 한강변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권한일 기자서울 한강변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권한일 기자

올 들어 국내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거래량이 이미 100만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관련 업계와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1~7월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차 계약 중 월세를 긴 사례는 105만6898건으로 집계됐다.

월세(보증부 포함)를 낀 계약은 ▲2023년 139만4982건 ▲2024년 142만8986건 등 매년 늘었는데, 올해는 시장에서 월세 전환이 더욱 빨라지면서 증가세가 더욱 선명해졌다.

지역별로도 서울·경기·인천(68만7762건)은 물론 ▲부산(6만3171건) ▲경남(4만256건) ▲충남(3만7117건)에 이르기까지 월세 거래량이 최대치를 뛰어넘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러한 흐름은 2020년 7월 시행된 새 임대차법과 무관치 않다.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포함한 새 법이 시행된 뒤 전셋값 급등세가 지속되자 부담을 느낀 세입자가 월세 시장으로 옮겨가면서다.

집주인이 받는 '전세금 반환용 주택담보대출' 운영 정책이 변경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한도가 종전 2억원에서 1억원으로 내려가고, 다주택자의 경우 받을 수 없도록 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의 전세자금대출 보증 비율 역시 80%로 줄었다.

문제는 월세와 함께 전세 가격도 뛰면서 세입자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부동산원 통계 기준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격지수는 2023년 5월(91.3)부터 지난 6월(100.6)까지, 월세통합가격지수는 2023년 7월(95.9)부터 올 6월(100.6)까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실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보면 서울 성동구 성수동1가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면적 198.219㎡는 지난달 17일 보증금 75억6000만원(30층)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전 전세보증금(72억원)보다 3억6000만원 오른 액수다. 또 서울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 전용 206.8953㎡는 지난달 22일 보증금 10억원에 월세 3000만원(7층)의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월세 기준으로 종전 최고인 2500만원을 뛰어넘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