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 서울 26℃

  • 인천 27℃

  • 백령 25℃

  • 춘천 28℃

  • 강릉 24℃

  • 청주 26℃

  • 수원 26℃

  • 안동 27℃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26℃

  • 전주 26℃

  • 광주 26℃

  • 목포 26℃

  • 여수 27℃

  • 대구 28℃

  • 울산 26℃

  • 창원 27℃

  • 부산 26℃

  • 제주 25℃

증권 코빗 리서치센터 "파생상품 거래, 전통금융 뛰어넘어···리스크 관리는 과제"

증권 블록체인

코빗 리서치센터 "파생상품 거래, 전통금융 뛰어넘어···리스크 관리는 과제"

등록 2025.08.08 16:51

한종욱

  기자

공유

코빗 리서치센터, 무기한 선물 상품 보고서 발표미국 제도권 수용 논의 본격화, 시장 성장 기대비트코인 무기한 선물 거래 비중 76%로 압도적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시장이 미국 주도의 규제 친화 흐름으로 주목을 받는 가운데 만기일 없이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는 '무기한 선물(Perpetual Futures)' 상품이 업계 화두로 올랐다.

8일 코빗 리서치센터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4일 기준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전체 거래대금에서 무기한 선물 상품 거래의 비중은 76%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의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규모가 이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등 전통 금융권의 상품을 압도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전통 선물 거래 방식은 만기일에 맞춰 자산을 인도하거나 인수해야 하는 계약이다. 투자자는 만기마다 롤오버(이월)를 통해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고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은 만기일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만기일이 가까워질수록 두 가격의 격차가 줄어든다. 만일 수렴하지 않을 경우 무위험 차익거래 기회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무기한 선물 거래 방식은 이러한 만기 구조가 없이 언제든 포지션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투자자는 기존의 롤오버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거래 비용이 줄고 한 상품에 거래가 집중돼 유동성이 높아진다.

가격 수렴 메커니즘도 다르다. 무기한 선물은 '펀딩비(Funding Fee)'라는 수수료를 통해 선물과 현물 가격을 근접하게 한다. 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높으면 롱(매수) 포지션 투자자가 펀딩비를 부담한다. 반대로 선물 가격이 낮을 경우 숏(매도) 포지션 투자자가 펀딩비를 내게 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두 시장 간 가격 차이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청산 방식에도 차별점이 있다. 기존 선물 거래와 달리 무기한 선물 거래에서 거래소는 외부 청산소 없이 자체적으로 자동 청산 시스템을 운영한다. 투자자의 계좌 잔고가 기준 증거금 이하로 떨어지면 거래소가 자동으로 포지션을 청산하는 방식이다.

일각에서는 무기한 선물 상품의 청산 방식이 거래소 내부에서 이뤄져 위험이 집중되는 만큼 시스템 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이와 별개로 현재 미국에서는 무기한 선물 상품의 제도권 수용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4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관련 제도 도입에 대한 공개 의견을 수렴했다. 이에 코인베이스는 미국 내 규제에 부합하는 상품의 출시를 선언했다. 이건우 코인베이스 제품 총괄도 7일 한국을 찾아 "해당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보고서는 무기한 선물 상품의 구조가 기존 상품거래법 내 정의에 명확히 속하지 않아 법적 해석이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짚었다. 만기 없이 포지션이 누적되는 구조와 거래소 자체 청산 방식이 기존과 다르다는 점도 추가 논의 대상이다.

끝으로 국내에서 가상자산 파생상품 제공이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평가했다. 이로 인해 가상자산이 해외 거래소로 유출됐다는 진단이다. 보고서는 2024년 하반기에 총 97조원가량의 가상자산이 외부로 빠져나갔고, 이 중 약 76조원은 해외 사업자나 개인 지갑 주소로 이전됐다고 집계했다.

정지성 코빗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미국 사례에서 보듯이 법적 정의와 청산·리스크 관리 체계 확보에 대한 논의가 필수적"이라며 "국내에서도 파생상품 정의·기초자산 범위 재정립, 유연한 규제 방안, 투자자 보호와 시장 접근성의 균형이 주요 과제로 제시된다"고 말했다.

이어 "만일 제도권 내 가상자산 파생상품을 도입한다면 해외로 빠져나간 돈이 국내로 들어와 시장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