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 계열 편입 후 첫 인수합병 추진자산 양수도 방식·1000억원대 계약 논의삼성웰스토리와 양강 구조 가능성 부상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신세계푸드 제조서비스 부문 매출 5759억 원, 전체의 37.5%
아워홈 단체급식·외식 매출 1조2126억 원, 업계 2위
인수 시 아워홈 관련 매출 약 1조7000억 원대로 확대 전망
국내 단체급식 시장, 5개 대기업이 80% 이상 점유
아워홈, 신세계 계열사 급식 수요 확보 기대
한화그룹 계열사와의 시너지 효과 예상
아워홈, LG 계열 물량 유지 부담
한화 인수 후 공군 등 군 급식 시장 진출 확대
한화그룹, 식음료 사업 아워홈 중심으로 재편 움직임
신세계푸드는 전날 공시를 통해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업 구조 개선 및 사업 협력 등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이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신세계푸드의 제조서비스 부문에는 구내식당을 중심으로 한 단체급식 사업과 외식 브랜드 '노브랜드버거', 베이커리 등이 포함된다. 지난해 제조서비스 부문 매출은 5759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37.5%를 차지했다. 단체급식 부문만 놓고 보면 신세계푸드는 현재 업계 5위 수준이다.
아워홈은 한화그룹에 인수된 이후 본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기준 아워홈의 식음료 사업(단체급식·외식 포함) 매출은 1조2126억원으로 전체 매출(2조2440억원)의 54%를 차지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웰스토리(1조9090억원)에 이어 2위다. 올해 상반기에는 공항·병원·쇼핑몰 등 컨세션 부문이 성장하며 외식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다.
이번 인수 추진은 아워홈이 시장 점유율을 더욱 끌어올릴 기회로 평가된다. 현재 국내 단체급식 시장은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CJ프레시웨이, 현대그린푸드, 신세계푸드 등 5개 대기업이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과점 구조다. 아워홈이 신세계푸드의 제조서비스 부문을 인수할 경우 단체급식 및 외식 관련 매출이 약 1조7000억 원대로 확대되며 삼성웰스토리와 양강 구도를 형성할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아워홈은 과거 LG그룹 계열사로서 LG 계열 물량을 일정 부분 담당해 왔으나 한화그룹에 인수된 이후에는 해당 물량을 유지하는 데 부담이 따를 수밖에 없다. 반면, 신세계 계열사의 급식 수요를 확보할 경우 이를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세계푸드는 지난해 이마트 등 특수관계자 거래를 통해 5682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이 가운데 제조서비스 부문 비중(37.5%)을 적용하면 약 2000억원 규모의 매출이 단체급식과 외식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
중장기적으로는 한화그룹 내부 계열사와의 시너지도 기대된다. 한화는 방산 계열사를 다수 보유하고 있어 군 급식 등 특화 시장에서도 유리한 위치에 있다. 실제로 아워홈은 한화에 인수된 직후인 지난 5월 공군 3개 부대의 병영식당 운영권을 따냈으며 현재 전국 육·해·공군 10여 개 부대에서 급식을 운영 중이다. 또 나라장터를 통해 각종 식자재 납품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한화그룹은 식음료 계열사 재편도 본격화하고 있다. 아워홈 인수를 주도한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외에도 한화갤러리아는 식음료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파이브가이즈' 매각을 검토 중이다. 그룹 내 식음료 사업 포트폴리오를 아워홈 중심으로 통합하려는 움직임이다.
아워홈 관계자는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검토 중이나, 현재까지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김제영 기자
zero10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