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LG·SKT·NC·업스테이지 5개 정예팀 최종 선정연말에 1차 단계평가···대국민·전문가 컨테스트도 병행반기마다 평가해 2027년 초 최종 2개팀 선발할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본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으로 선발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최초 지원한 15개 팀 중 5곳만 향후 사업을 이어가게 됐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프로젝트가 국내 AI 생태계에 확산돼 또 다른 비즈니스 모델과 시장을 창출하고, 더 나아가 국민의 AI 접근성 증진에도 적극 기여해 모두의 AI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기술력 및 개발경험 ▲개발목표 우수성 ▲개발 전략·기술 우수성 ▲파급효과 및 기여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5팀을 선정했다. 다만 이번에 탈락한 5팀에는 심사 결과에 대해 앞으로 10일간 이의신청을 받기로 했다. 이의신청이 완료된 이후 정예팀에 대한 착수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착수식 후 국가대표 AI 정예팀 5곳은 AI 모델 개발에 돌입하게 되는데, 6개월 단위로 평가를 받아 한 팀씩 탈락하게 된다. 연말에는 정예팀 5곳에 대한 1차 단계평가가 이뤄진다. 이때 대국민·전문가 컨테스트도 준비할 예정이다. 이 경우 최종 2개 팀이 남는 건 2027년 초가 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정예팀 5곳에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데이터, 인재 지원금을 신청을 받아 지원할 방침이다.
데이터 지원은 5곳 모두 신청했다. 이소라 과기정통부 데이터진흥과장은 "데이터를 공동 구매하거나 팀별로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아직은 협의 단계로 수요에 맞춰 공동구매를 진행하고, 원하는 데이터를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GPU 공급 대상에서는 SK텔레콤과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외된다. 두 사업자가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GPU를 임대할 공급사로 선정된 까닭이다. 지원 규모는 엔비디아 'B200' 512장과 'H100' 1024장이다.
인재 지원은 5개 정예팀 중 업스테이지만 신청했다. 이에 정부는 해당 정예팀이 유치하고자 하는 해외 우수 연구자(팀)의 인건비, 연구비 등 필요 비용을 매칭해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에 선정된 5개 정예팀에는 'K-AI 모델'과 'K-AI 기업' 명칭을 사용할 권한을 줄 예정이다. 또 정부는 ▲각 정예팀이 개발·확보한 AI 파운데이션 모델의 AI 생태계 확장 ▲국민 AI 접근성 증진 ▲공공·경제·사회 분야의 AI 대전환(AX) ▲국방·안보 활용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