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AI로 제3의 도약 가능하다"

산업 산업일반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AI로 제3의 도약 가능하다"

등록 2024.08.19 11:30

김현호

  기자

공유

이천포럼 2024 개막···주요 연사로 참여HBM 등 그룹 AI 3대 자산 자신감 강조"네이버·삼성전자와 어벤져스 형성 가능"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AI(인공지능)로 그룹이 제3의 도약을 이뤄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19일 오전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에서 지식경영 플랫폼 '이천포럼 2024'가 개최된 가운데 유 사장은 이날 주요 섹션 중 하나인 '다가오는 AGI 시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의 연사로 참석했다.

유 사장은 이 자리에서 "SK그룹은 과거 섬유에서 석유까지 수직 계열화 전략을 완성하면서 성장을 했던 과거의 역사가 있다"며 "AI 시대를 바라봤을 때 인프라, 서비스 등 밸류체인 측면에서 그룹이 리더십을 가지고 간다면 저희 그룹이 AI 시대에 성공하는 제3의 도약을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칩 관점에서 SK하이닉스의 HBM(고대역폭 메모리)이 잘 나가고 있고 낸드 분야에서도 AI 시대에 소화되고 있다"며 "SKC의 자회사 앱솔릭스는 유리 기판이라는 게임 체인저 포텐셜(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SK텔레콤은 NPU(신경망처리장치) 사업을 영위하는 사피온이라는 자회사가 있는데 리벨리온과 통합하면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반도체 기업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합병을 하게 되는 SK이노베이션과 SK E&S가 아시아 최대의 에너지 기업으로서 LNG 발전, 태양광 발전 등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등 굉장한 기회가 저희에게 오고 있다"고 밝혔다.

유 사장은 HBM과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 SK이노베이션의 에너지 솔루션을 SK그룹의 AI 3대 자산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HBM 관련해 M7(매그니피센트 7 : 애플·마이크로소프트·구글 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테슬라)' 기업들과 모두 채널을 형성하고 있고 중국, 중동, 일본, 대만 등 많은 지역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는 50개국 13억 인구를 커버하고 있는데 향후에는 100개국 20~30억 정도를 커버할 생각"이라고 전했다. 이어 "에너지 솔루션의 경우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국가들과 어떤 국가 차원의 패키지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3대 자산을 조금 더 확산한다면 네이버와 삼성전자 등 어벤져스를 만들어 같이 (AI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김현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