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둔화 추세지만 리스크 상존해 지켜봐야""높은 생활비 수준 해결 위한 구조개선 필요"
이 총재는 18일 '물가안정목표 운영 상황 점검' 모두 말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과 유로 지역은 불확실성은 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떨어지는 추세"라며 "우리나라도 연초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일시 높아지기도 했지만 전반적인 물가 오름세는 완만한 속도로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12월 3.2%를 기록한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 2.7%로 낮아졌다. 근원인플레이션율도 같은 기간 2.8%에서 2.2%로 낮아지는 등 기조적인 물가 지표들도 하향 안정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 총재는 "향후 물가는 최근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 둔화를 감안할 때 지난 5월 전망과 부합하는 완만한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 기상 여건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만큼 물가가 예상대로 목표에 수렴해 나갈지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경제는 5월 전망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수출과 내수 간 회복세에 차이가 있어 내수 측면에서의 물가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은 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며 근본적 구조개선을 강조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지난해 초 5.0%에서 올해 5월 2.7%로 낮아졌지만 국민들께서 피부로 잘 느끼시지 못하는 이유가 높은 생활비 수준 탓"이라며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을 낮추기 위해 서는 어떠한 구조개선이 필요한지 고민해 볼 때가 됐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crysta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