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성 퇴비화 공법'으로 해양폐기물 재활용현재까지 농가에 퇴비 50만톤 무상 공급
통상 발전소에서는 장비의 과열을 식히기 위해 많은 양의 냉각수를 필요로 한다. 인천LNG발전소도 해수를 냉각수로 활용하고 있는데, 냉각수를 얻는 과정에서 다량의 해양폐기물이 유입된다.
인천LNG발전소는 해양폐기물 재활용이 쉽지 않은 상황임에도 나날이 증가하는 해양폐기물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고자 폐기물을 전수 조사하고 관련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재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다.
그 결과 해양 폐기물 내에서 유기물, 수분, 공기 등의 퇴비화 조건이 형성되면 미생물 분해작용에 따라 퇴비가 만들어지는 '호기성(好氣性) 퇴비화 공법'을 찾는 데 성공했다.
즉, 적재장에서 폐기물·톱밥·미생물을 혼합한 후 2주간 건조시키고, 선별기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숙성 과정을 거치는 작업이다. 호기성 퇴비화 공법으로 폐기물을 퇴비로 만드는 데는 약 30일이 걸린다.
인천LNG복합발전소는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발전소로 총 9기의 발전기와 3412MW의 설비용량을 갖췄으며, 지난 50여년간 수도권 전력 안정화에 기여해 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향후 친환경 발전이 대세로 자리 잡아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발전소 내 7개의 발전기 중 3, 4호기를 수소 혼·전소 발전기로 순차적으로 전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CCS(탄소 포집·저장)기술도 적극 적용해 회사의 친환경 정책을 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농가에 무상 공급된 퇴비는 약 50톤"이라며 "대기 및 토양오염도 줄이면서 주변 농가의 농업생산성 증대에도 기여하는 일석이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전소연 기자
soyeo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