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IT 이사회 장악에 '내부 폭로'···점입가경 SM 인수전, 향방은?

IT 인터넷·플랫폼 에스엠 쟁탈전

이사회 장악에 '내부 폭로'···점입가경 SM 인수전, 향방은?

등록 2023.02.16 15:18

수정 2023.03.07 16:47

임재덕

  기자

공유

하이브 'SM 이사회' 후보 7인 공개···SM 現 경영진 배제이성수 SM 공동대표 즉각 성명, 이수만·하이브 문제 폭로SM 경영진 흑기사 '카카오' 참전 관심, 내달 초 '분수령'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엔터) 인수전(戰)이 갈수록 점입가경이다.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와 손잡고 SM엔터 최대주주에 오른 하이브가 '이사회 장악'을 시도하자, 카카오와 협력해 온 현(現) 경영진은 이들의 문제를 폭로하며 '여론전'으로 맞섰다. SM엔터 경영권을 새로 확보하려는 자와 지키려는 자의 총성 없는 전쟁이 가시화한 셈이다.

이 싸움 분수령은 다음달 초 나올 이 전 총괄 가처분 신청(카카오 유상증자 반대) 결과가 될 전망이다. 법원이 이를 기각하면 카카오 측이 상당한 자금력으로 SM엔터 지분 경쟁을 본격화, 현 경영진에게 힘을 실어줄 가능성이 커서다.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16일 업계에 따르면, SM엔터 최대주주인 하이브는 전날 밤 주주제안 메일을 보내 사내이사 후보군으로 ▲이재항 하이브 아메리카 대표 ▲정진수 하이브 CLO(최고법무책임자) ▲이진화 하이브 경영기획실장을 제안했다. 사외이사 후보로는 ▲강남규 법무법인 가온 대표변호사 ▲홍순만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임대웅 유엔환경계획(UNEP) 금융이니셔티브 한국대표를 올렸다. 기타 비상무이사 후보로는 박병무 VIG 파트너스 대표파트너, 비상임감사 후보로는 최규담 회계사가 꼽혔다. 現 SM 경영진은 단 한 명도 없다.

하이브는 이 주주제안을 바탕으로 다음달 말 열릴 SM엔터 주주총회에서 현 경영진 교체와 경영권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변수는 있다. 주총 전 SM엔터 경영진과 뜻을 함께하는 카카오의 개입(추가 지분 확보) 가능성이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 7일 제3자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매입을 통해 SM엔터 지분 9.05%를 확보한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 전 총괄이 "경영권 분쟁 상황에서 제3자에게 신주를 발행한 건 위법하다"고 반발, 지난 10일 서울동부지법에 신주 및 전환사채 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면서 추가 지분 확보에 변수가 생겼다.

가처분 결과는 다음달 6일로 예정된 유상증자 대금 납일일 전 나올 전망이다. 만약 법원이 이 전 총괄의 가처분을 기각할 경우, 카카오가 SM엔터 지분 공개매수를 통해 주총 '표 대결'에 나설 수 있다는 얘기다. 카카오는 "추가 매수는 정해진 바 없다"는 입장이나, 이 시나리오의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우선 자금력이 뒷받침된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유치한 1차 자금(8975억원)이 오는 20일 유입된다. 자금조달 목적에는 '회사의 사업 전략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이 달려, 타법인증권 취득자금으로 온전히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앵커에퀴티파트너스 투자금 5627억원까지 합산하면,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우선적으로 1조4600억원의 투자 활용 자금 확보가 가능해진다.

김진구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날 낸 보고서에서 "인수 주체는 카카오가 아닌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될 것"이라며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SM엔터 최대주주(하이브)와 기공시된 공개매수 합산인 43.4%를 대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대항 공개매수) 단가는 최대 14만1000원"으로 산출했다. 그러면서 "이는 카카오 그룹이 SM엔터에 대한 메이저 지분을 확보한다는 가정하에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나리오"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하이브의 당초 계획이 일부 틀어졌다는 점도 이 의견에 힘을 더한다. 하이브는 당초 SM엔터 주식을 주당 12만원에 공개매수해 25%의 지분을 더 확보하고자 했다. 그런데 이번 인수전이 알려지며, SM엔터 주가는 치솟았고 전날 12만원을 넘어섰다. 이대로라면 주주들이 하이브의 공개매수에 응할 유인이 사라지는 셈이다.

이 전 총괄에 대한 여론도 변수다. 이날 이성수 SM엔터 공동대표이사는 1차 성명문을 발표, 이 전 총괄이 100% 개인회사인 홍콩 'CTP'(CT 플래닝 리미티드)를 활용해 '역외탈세' 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개인적인 부동산 사업권 욕망으로 앞으로 나올 곡 가사에 '나무심기'를 넣으라고 강요, 소속 걸그룹 에스파 컴백을 지연시키는 등 회사에 피해를 줬다고 주장했다.

하이브와 이 전 총괄이 체결한 주식매매계약도 지적했다. 그는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국내 프로듀싱은 3년간 제한돼 있지만, 해외 프로듀싱은 제한이 없다"면서 "하이브는 이수만 해외 개인회사인 CTP 위법요소를 알고도 동조하거나 묵인한 것이냐. 아니면 모르고 계약한 것이냐"고 꼬집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 전 총괄이 제기한 가처분이 기각될 경우 카카오가 그룹 차원에서 SM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커 보인다"면서 "하이브가 제시한 공개매수 가격보다 높게 책정하면서 우위를 가져갈 것"으로 점쳤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