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서울시 "폭우 취약한 지하·반지하 주택 건축 전면불허"

서울시 "폭우 취약한 지하·반지하 주택 건축 전면불허"

등록 2022.08.10 21:16

수정 2022.08.10 21:17

안윤해

  기자

공유

사진제공=연합뉴스사진제공=연합뉴스

115년만에 기록적인 폭우로 서울 반지하 및 다세대·연립주택 침수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가 앞으로 지하·반지하 건축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이번 폭우로 침수 피해를 본 지하·반지하 거주 가구를 위한 안전대책을 10일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서울 시내 지하·반지하 가구는 약 20만호로 전체 가구 중 5%에 해당한다.

현재 건축법 11조에는 '상습적으로 침수되거나 침수가 우려되는 지역에 건축하려는 건축물의 지하층 등 일부 공간을 주거용으로 사용하거나 거실을 설치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인정되면' 시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 허가를 내주지 않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2012년 해당 조항이 시행된 이후에도 4만호 이상의 반지하 주택이 건설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서울시는 구역을 불문하고 지하층은 사람이 살 수 없도록 규제를 강화할 전망이다.

아울러 시는 상습 침수 또는 침수 우려 구역을 대상으로 모아주택, 재개발 등 정비사업을 통한 빠른 환경 개선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이달 내 반지하 주택 약 1만7000호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대책 마련에 나설 예정이다. 이후 시내 전체 지하·반지하 주택을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위험단계(1∼3단계)를 구분해 관리할 예정이다.

뉴스웨이 안윤해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