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아직은 예열 중'...두산에너빌리티, 1Q 영업익 전년비 21%↓

'아직은 예열 중'...두산에너빌리티, 1Q 영업익 전년비 21%↓

등록 2022.04.29 17:18

이승연

  기자

공유

원재료 가격 상승·밥캣 PRS 평가손실 영향1Q 매출 3조713억···전년比 29.75%↑EPC 수주 릴레이...2년 5개월 치 먹거리 확보

'아직은 예열 중'...두산에너빌리티, 1Q 영업익 전년비 21%↓ 기사의 사진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가 경영 정상화 이후 첫 성적표를 공개했다. 미래 수익원인 신재생 에너지 사업이 아직 주력 수익원으로 자리 잡지 못한 가운데 원자재 값 상승세가 더해지면서 1분기 실적이 다소 부진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92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0.56% 감소했다고 29일 밝혔다. 순이익도 110억원으로 같은 기간 9.56% 줄어 들었다.

원자재 값이 크게 오른 타격이 컸다. 여기에 두산밥캣 주가수익스와프(PRS)의 평가손실이 반영되면서 순이익도 끌어 내렸다. 두산밥캣 PRS는 두산에너빌리티가 보유한 파생상품으로, 두산밥캣의 주가 변동에 따라 매 분기 장부상 영업외손익으로 반영된다.

매출은 늘었다. 계속되는 국내외 대형 설계·조달·시공(EPC) 프로젝트 수주로 매출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29.75% 증가한 3조 713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자회사를 포함한 1분기 수주는 총 1조956억원으로, 1분기 말 수주 잔고는 13조5986억원이었다. 지난해 매출 기준 2년 5개월 치의 먹거리를 이미 확보했다.

재무적 지표도 개선됐다. 지난 2월 유상증자 등 재무구조 개선 노력으로 부채비율이 134.2%로, 전년 말 대비 35.1%포인트 하락했다. 관리 기준으로도 같은 기간 52.8% 떨어진 118.8% 을 기록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올해 수주목표액을 8조4000억원으로 설정했다.

두산에너빌리티 관계자는 "통상적인 기자재와 서비스 수주로 목표액 중 2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라면서 "해상풍력, 소형모듈원자로(SMR)도 수주 목표 달성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승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