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애플 뚫은' 장덕현 사장···패키지기판으로 '레벨업' 꿈꾼다

'애플 뚫은' 장덕현 사장···패키지기판으로 '레벨업' 꿈꾼다

등록 2022.04.22 17:48

윤서영

  기자

공유

삼성전기, 올해 패키지솔루션 매출액 전년比 33.5%↑패키지솔루션 매출 중 FC-BGA 비중 29% 차지베트남 생산법인과 부산사업장에 총 1조6000억원 투자패키지기판 장기 호황 진입···올해 영업이익률 20%대 예상

'애플 뚫은' 장덕현 사장···패키지기판으로 '레벨업' 꿈꾼다 기사의 사진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이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FC-BGA(반도체 패키지기판) 사업의 고객 다변화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22일 DB금융투자에 따르면 올해 삼성전기 패키지 솔루션 매출은 전년 대비 33% 증가한 2조2101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 중 FC-BGA는 29%를 차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키움증권은 FC-BGA 매출액이 올해 7400억원에 달할 전망이며 2024년에는 1조3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빠듯한 수급 여건을 감안할 때 2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유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올해부터 삼성전기 수장을 맡아 이끌고 있는 장덕현 사장은 신성장동력 발굴에 집중하며 여러 차례 패키지 기판 기술을 강조한 바 있다.

그는 지난달 주주총회에서 "패키지 기판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고 있다"며 "SoS(System on Substrate)는 모든 시스템을 통합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다"라며 차세대 패키지 기판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장 사장은 지난달 부산사업장에 FC-BGA 공장 증축을 밝히면서도 "반도체의 고성능화 및 AI·클라우드·메타버스 등 확대로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기술력 있는 패키지 기판 파트너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며 "삼성전기는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집중해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삼성전기의 패키지기판 고객 다변화 노력은 일부 성과를 거두고 있다.

현재 삼성전기는 애플의 M1 프로세서에 이어 M2 프로세서용 FC-BGA를 애플에 납품할 공급처로 거론되고 있다. M1은 애플이 맥(Mac)PC를 위해 설계한 ARM기반 시스템반도체로 4세대 맥북 에어, 5세대 맥 미니, 13인치 5세대 맥북 프로, 5세대 아이패드 프로 등에 탑재됐다. 애플은 올해 M2 프로세서를 탑재한 신제품 출시를 준비 중이다.

삼성전기는 이미 여러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업체에 FC-BGA를 공급하고 있고 애플의 M1에도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공급한 바 있어 향후 큰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권성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삼성전기의 FC-BGA는 이미 고성능 노트북용에 들어갈 정도로 상위권에 포진돼 있다"며 "향후 서버용 진출도 계획하고 있어 후발 업체와 차이를 벌리고 이비덴, 신코 등의 일본업체 레벨로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기는 늘어나는 FC-BGA 수요에 맞춰 투자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12월과 지난 2월 베트남 생산법인에 약 1조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으며 지난달에는 부산사업장에 3000억원 투입의지를 밝혔다. 본격적으로 FC-BGA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총 1조6000억원 가량 대규모 투자를 한 셈이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삼성전기는 부산 사업장 추가 투자를 통해 서버용으로 고도화 계기를 마련했다"며 "서버용 FC-BGA를 연내 양산 예정이며 서버용 판가는 PC용 대비 5~10배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부산사업장은 하이엔드 FC-BGA, 베트남 사업장은 양산성이 검증된 제품 위주로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윤서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