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슈플러스 거세지는 안철수 바람···“후보 단일화시 李와 13.4%p 격차”

이슈플러스 일반

거세지는 안철수 바람···“후보 단일화시 李와 13.4%p 격차”

등록 2022.01.09 17:25

공유

안철수(왼쪽)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지난해 12월 6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안철수(왼쪽)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지난해 12월 6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의 단일화를 통해 후보로 나설 경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오차범위를 넘어서는 격차로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9일 나왔다.

안 후보와의 단일화를 통해 윤 후보가 후보로 나설 경우에는 이재명 후보와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던포스트가 CBS 의뢰로 지난 7일∼8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면접조사(무선 100%)에서 안 후보로 야권 단일화가 이뤄질 경우 안 후보는 42.3%, 이 후보는 28.9%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두 후보 간 격차는 13.4%포인트로 오차범위를 넘어섰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3%, '지지후보 없음'은 16.4%, '모름·무응답' 5.4%로 각각 조사됐다.

윤 후보로 단일화가 이뤄지면 윤 후보는 34.4%, 이 후보는 33.6%로 오차범위 내 박빙의 다툼을 벌였다. 심 후보는 4.7%, '지지후보 없음' 18.2%, '모름·무응답' 5.7%였다.

안 후보가 보수야권 단일후보가 될 경우의 다자 대결에서 윤 후보를 택한 응답자의 69.3%가 안 후보 지지로 이동했고, 이 후보를 지지했던 응답자의 11.6%도 안 후보 지지도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윤 후보로 단일화가 이뤄질 경우의 다자 대결에서는 안 후보를 지지한 응답자의 30.6%만 윤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응답했다.

보수 야권 후보 단일화에 대한 찬반을 묻는 조사에서는 찬성 44.3%, 반대 37.8%, 모름·무응답 18.0%로 집계됐다. 단일화를 가정하지 않은 다자 대결에서는 이 후보 34.1%, 윤 후보 26.4%로 두 후보의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7.7%포인트였다.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지난달 29일∼30일 실시된 조사 당시 10.5%포인트에서 줄어든 것이다. 이 후보는 직전 조사 35.7%에서 1.6%포인트 하락했고, 윤 후보는 25.2%에서 1.2%포인트 상승했다.

안 후보의 지지율은 12.8%로 직전 조사의 6.0%보다 두 배 이상 상승했다. 심 후보는 직전 조사보다 1.0%포인트 내린 3.1%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35.3%로 가장 높았고, 민주당이 9.5%포인트 격차인 25.8%로 뒤를 이었다. 국민의당 6.4%, 정의당 5.1%, 열린민주당 3.5% 순으로 뒤를 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가 40.5%, 부정 평가가 56.4%였다.

지난 조사와 비교해 긍정 평가가 43.1%에서 2.6%포인트 줄었고, 부정 평가는 53.5%에서 2.9%포인트 늘었다. 이번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 3.1%포인트이며, 응답률은 19.9%다.

자세한 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