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SK-노바백스, 차세대 백신 개발 및 생산 협력

보건복지부는 한미 양국 정상이 지난 21일(현지시간) 포괄적인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한미 양국은 미국의 백신 개발 기술과 원부자재 공급 능력 및 한국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 등 상호 강점을 결합해 코로나19 백신의 글로벌 백신 생산 및 공급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보건 안보 및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과학 및 기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이를 실무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과학자, 전문가, 공무원으로 구성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을 설치하기로 했다.
한미는 백신 협력 강화의 일환으로 22일 오전 10시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한미 백신 파트너십’ 행사를 열고 4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태원 SK 회장,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하비에르 베세라 미국 보건부 장관,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 회장, 스테판 반셀 모더나 회장 등이 참석했다.
우선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는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원액을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완제 충전’ 방식으로 수억회분을 생산해 전 세계에 공급하게 된다. 기술 이전 및 시험 생산 등을 거쳐 올해 3분기부터 대량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복지부와 SK바이오사이언스, 노바백스는 백신 개발과 생산에 대한 MOU를 체결했다. 노바백스 백신은 합성항원 방식의 백신으로, 현재 노바백스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독감 결합 백신 등을 개발하고 있다. 복지부는 노바백스와의 협력을 통해 변이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차세대 백신 개발과 함께 백신의 안정적 공급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복지부와 산업부, 모더나는 모더나의 잠재적인 한국 투자 및 생산 관련 논의 협력을 위한 MOU에도 서명했다. 질병관리청 소속 국립보건연구원도 모더나 사와 mRNA 백신 관련 연구 협력을 위한 MOU를 맺었다.
한편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이날 행사 전날인 21일 오후 3시 하비에르 베세라 미국 보건부 장관과 사전 양자 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한미 양국 보건부 장관은 전세계 코로나19의 조속한 극복을 위해서는 코로나19 백신의 신속한 보급이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양국 정상간 합의에 따라 코로나19 백신 생산과 글로벌 공급 관련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hij@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