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6년만에 대표 교체한 이마트에브리데이···김성영號 과제는

6년만에 대표 교체한 이마트에브리데이···김성영號 과제는

등록 2020.11.04 16:51

정혜인

  기자

공유

이마트 SSM, 2017년 흑자 전환 후 이익 급성장점포수는 ‘빅4’ 중 4위 머물러···외형 확대 필요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이마트의 기업형 슈퍼마켓(SSM) 이마트에브리데이를 이끌 새 수장에 이마트24의 리브랜딩과 성장을 주도한 김성영 전 이마트24 대표가 낙점됐다. 규제와 경쟁 심화로 SSM 시장 성장세가 점차 둔화하는 가운데 김 대표가 이마트에브리데이의 외형 확대를 위한 묘책을 낼지 관심이 모인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신세계그룹 이마트부문은 최근 김성영 전 이마트24 대표를 이마트에브리데이 대표에 선임했다. 이마트에브리데이가 대표이사를 교체한 것은 6년만이다.

최근까지 이마트에브리데이를 이끌어온 이태경 전 대표는 2014년 말 대표이사에 선임돼 2017년 이마트에브리데이의 흑자전환에 성공한 데 이어 이익률을 큰 폭으로 개선해왔다.

실제로 이마트에브리데이의 매출액은 2017년 1조1330억원, 2018년 1조1750억원, 2019년 1조2297억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12.3%, 3.7%, 4.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17년 22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한 이후 2018년 전년보다 145.2% 성장한 53억원, 2019년 191.3% 늘어난 154억원으로 뛰었다. 올 상반기 역시 매출액이 6516억원, 영업이익이 1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4%, 168.6% 늘었다.

그 동안 유통산업발전법 등으로 국내 SSM 시장 성장세가 크게 둔화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긍정적인 성과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롯데슈퍼, 홈플러스익스프레스, GS더프레시, 이마트에브리데이 등 4개 SSM의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신장률은 2017년 0.4%, 2018년 2.0%, 2019년 -1.5%에 그쳤다. SSM ‘빅4’ 중 이마트에브리데이만 평균을 크게 웃도는 성장세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점포 수가 적다는 점은 아쉽다. 이마트에브리데이의 점포수는 2017년 231개, 2018년 232개, 2019년 235개로 순증이 더디다. 올 상반기에도 직영점 5곳, 가맹점 5곳을 오픈했으나 직영점 6개와 가맹점 2개를 닫으면서 점포수는 지난 상반기 말 기준 237곳, 순증수는 2개에 그쳤다.

SSM ‘빅4’ 중에서도 이마트에브리데이의 점포수가 가장 적다. 롯데슈퍼의 점포수는 올 상반기 기준 500점, 홈플러스익스프레스의 점포 수는 2018년 말 기준 350점, GS더프레시의 점포 수는 지난해 말 기준 319점으로 모두 300점을 훌쩍 넘는다. 특히 이마트에브리데이는 가맹점 수가 30개도 되지 않아 경쟁사보다 크게 적다.

이 때문에 김성영 신임 대표가 SSM 신규 출점 전략을 새롭게 모색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경기 불황으로 소비심리가 지속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유통산업발전법 등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SSM 시장에서 신규 출점을 통한 외형 확장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편의점 역시 이와 비슷한 상황이나 김 신임 대표는 이마트24를 맡는 동안 리브랜딩과 출점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신임 대표는 2016년 말 이마트24 대표이사에 선임돼 4년간 이마트24를 이끌어왔다. 김 대표는 당시 ‘위드미’라는 이름의 편의점업계 후발주자였던 이마트24의 이름을 2017년 현재의 것으로 바꾸면서 올해 5000~6000점 돌파를 약속한 바 있다. 실제로 올 3분기 말 기준 이마트24의 점포 수는 5131개로 5000점을 넘어섰다. 2018년 말 편의점 출점 자율규약 도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시장 둔화 등에도 성공적으로 점포 출점 목표를 달성한 것이다.

김 신임 대표는 규제 강화와 경쟁 심화 속에서도 편의점 출점과 외형 확대를 성공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이마트에브리데이에서도 새로운 상생 가맹모델을 수립하게 될 전망이다.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