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대우조선해양, HMM 2만4천TEU 컨선 ‘최첨단 기술’ 탑재

대우조선해양, HMM 2만4천TEU 컨선 ‘최첨단 기술’ 탑재

등록 2020.05.22 09:08

윤경현

  기자

공유

세계 최고 스마트십 건조 선두주자 입지 굳혀실증 거친 최첨단 스마트십 솔루션 명품 스마트십 기준

대우조선해양이 HMM사를 위해 건조하고 있는 총 7척의 초대형컨테이너선은 올해 3분기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돼 아시아~북유럽 항로에 투입된다. 사진=대우조선해양 제공대우조선해양이 HMM사를 위해 건조하고 있는 총 7척의 초대형컨테이너선은 올해 3분기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돼 아시아~북유럽 항로에 투입된다. 사진=대우조선해양 제공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이성근)이 HMM의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에 최첨단 기술을 탑재하여 인도했다.
 
22일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이날 독자 개발한 스마트십 솔루션 ‘DS4®’을 탑재한 2만4000TEU급 초대형컨테이너선 1척을 HMM사에 인도했다.
 
7척의 초대형컨테이너선 시리즈에 탑재된 이 솔루션은 선주가 육상에서도 항해 중인 선박의 메인 엔진, 공조시스템(HVAC), 냉동컨테이너 등 주요 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하여 선상 유지·보수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최적 운항경로를 제안해 운항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마트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적용됐으며 개방형 사물인터넷(IoT)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플랫폼’을 활용하면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쉽게 연결, 호환할 수 있다.
 
또 운항 중인 선박의 각종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해킹 등의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사이버 보안 기술도 눈에 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영국 로이드 선급으로부터 스마트십 기술과 선박 사이버 보안 인증 상위등급(Digital AL3 Safe Security)을 획득한 바 있다.

또 최근에는 국내 최고 IT보안업체인 안랩(AhnLab)을 통한 보안성 검증을 거쳤으며 6월에는 실선 침투 테스트까지 완료할 예정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 선박들은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및 에너지 기준을 충족할 수 있게 설계됐다. 배기가스 중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탈황 장치(스크러버)가 설치됐다.

향후 LNG 추진 선박으로도 전환이 가능하며 이에 경제적 운항과 동시에 급변하는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대표적 스마트선박이라는 평가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선박 인도 후에도 선주와 협업을 통해 운항 전반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시스템을 업그레이드시켜 나갈 계획이다”며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스마트십 기술개발로 이 분야 글로벌 최강자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이 HMM사를 위해 건조하고 있는 총 7척의 초대형컨테이너선은 올해 3분기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돼 아시아~북유럽 항로에 투입된다.

뉴스웨이 윤경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