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조원태 확실한 우군 델타항공, 한진칼 추가매입 의미

[뉴스분석]조원태 확실한 우군 델타항공, 한진칼 추가매입 의미

등록 2020.02.24 15:31

수정 2020.02.24 15:39

이세정

  기자

공유

델타, 주주명부 폐쇄에도 한진칼 1.79% 확보3자 동맹, 지분매입 지속···델타 맞불작전 추정

뉴스웨이 DB.뉴스웨이 DB.

델타항공이 한진칼 지분 1.79%를 추가로 사들이면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의 확실한 우호세력으로 분류되는 분위기다.

델타항공이 새로 취득한 지분은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다. 시장에서는 반(反)조원태 세력과의 장기전을 염두에 둔 움직임이라고 해석한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델타항공은 지난 20일과 21일 두 차례에 걸쳐 한진칼 보통주 59만1704주를 매수, 지분율을 11%로 늘렸다. 취득 단가는 각각 5만1148원과 5만1167원으로, 상당히 고가에 사들였다. 총 투입자금은 약 303억원으로 계산된다.

델타항공이 한진칼 지분 매입 계획을 밝힌 것은 지난 6월이다. 당시 델타항공은 대한항공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위해 10%의 지분을 보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대한항공이 아닌 한진칼 지분을 모았다는 점에서 진짜 의도를 놓고 여러가지 추측이 제기됐다.

강성부 KCGI 대표 역시 이 같은 점을 지적했다. 그는 지난 20일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반도건설 등 3자 주주연합을 대표해 기자간단회를 열고 “현 경영진은 델타항공이 들어오고 나서 기고만장해 졌다”고 말했다.

또 “델타항공이 대한항공과의 시너지를 위해 지분을 매입했다면 대한항공 주식을 사야하는데, 한진칼 주식을 산 점에서 경영권 분쟁 이슈와 관련이 있다는 의심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는 델타항공이 조 전 부사장 연합군 편이 아니라는 점을 간접적으로 시사한 발언이다.

더욱이 조 회장은 2018년 말 직접 미국을 방문해 델타항공의 지분 매입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회장 최측근인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이 최근 델타항공 본사가 있는 미국 애틀란타로 출장을 가 지분 추가 확보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 것을 보더라도, 조 회장의 ‘백기사’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델타항공은 지분을 매입한 목적으로 여전히 ‘단순투자’를 꼽고 있다. ▲임원 선임·해임 또는 직무 정지 ▲이사회 등 회사 기관과 관련된 정관 변경 ▲회사 자본금의 변경 ▲배당 결정 등 총 10가지 사안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지만, 의결권은 있다.

델타항공이 새로 사들인 지분은 3월 열리는 주총에서 유효표로 인정되지 않는다. 이미 지난해 12월 주주명부가 폐쇄됐기 때문이다. 의결권 기준 지분율은 조 회장 측이 33.45%, 조 전 부사장 측이 31.98%다.

델타항공이 주식을 또 사들인 배경을 두고 조 회장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조 전 부사장 연합군이 주주명부 폐쇄 이후에도 지분을 불리며 위협을 가하는 데 대한 반격이라는 설명이다.

양 측이 꾸준히 지분을 늘리는 이유가 3월 주총 이후 벌어질 임시 주총, 나아가 내년 주총을 위한 포석으로 파악된다. 3자 동맹은 20일 반도건설의 한진칼 지분(5.02%) 매입으로 총 37.08%를 보유하게 됐다. 조 회장 측은 35.45%로 추정된다.

3월 주총에서는 조 회장 측이 1.47%포인트 앞서지만, 임시 주총이 열린다는 가정 하에는 조 전 부사장 측이 2.63%포인트 우세하다. 하지만 양 측의 세력차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지분 싸움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조 전 부사장을 주축으로 하는 3자 주주연합은 조 회장의 경영퇴진과 전문경영인 제도 도입을 주장한다. 이사 자격을 제한하는 정관 변경을 요청하고 언론 대상 간담회를 여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대내외에서 공감을 받지는 못하는 모습이다. 한진그룹 3개 노조는 조 회장 체제를 지지하고 나섰다. 특히 주주연합이 추천한 전문경영인 후보가 자진 사퇴하면서 이들의 명분은 약화되고 있다. 이사 자격 제한 역시 조 전 부사장과는 무관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꼼수 논란이 불거졌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