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최종구 “우리금융 잔여지분 조속 매각··· 완전한 민영화 추진”

최종구 “우리금융 잔여지분 조속 매각··· 완전한 민영화 추진”

등록 2019.01.14 13:40

신수정

  기자

공유

“우리금융, 지배구조 본보기 돼달라”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우리금융지주 출범식에서 축사를 했다. 사진=이수길 기자@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우리금융지주 출범식에서 축사를 했다. 사진=이수길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잔여지분을 매각해 우리금융의 완전한 민영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14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개최한 우리금융지주 출범식 축사에서 “정부도 우리금융지주의 재도약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금융위 산하기관인 예보를 통해 우리은행 지분 18.4%를 보유 중이다. 공적자금의 성공적 회수 차원에서 우리금융지주 출범 후 시장 상황과 여건을 살펴가며 최적의 지분 매각 시기를 찾는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최 위원장은 “잔여지분 매각 전까지는 현재와 같이 과점주주 중심의 자율경영기조를 적극적으로 보장해 나가겠다”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완전 민영화된 금융회사로서 우리금융의 자율성을 제고하고 창의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금융지주에는 “증권, 보험 등 비은행 금융회사의 편입을 통해 자회사 간 긍정적 시너지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글로벌 유수 금융회사와 경쟁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 위원장은 “우리금융의 기업 가치가 높아지면 나머지 공적자금 회수 가치 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금융에 “우리가 지향해야 할 금융지주사 지배구조의 바람직한 모습을 제시하는 본보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그는 “우리금융은 증권사, 보험사, PEF 등 다양한 주주가 참여하는 과점주주 체제라는 새로운 지배구조를 도입한 바 있다”며 “견제와 균형의 큰 원칙하에 경영진, 과점주주, 종업원 등 이해관계자들이 협심해 우리금융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 위원장은 “우리금융의 지주사 출범은 국내 금융산업이 더 크게 발전하는 데 촉매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며 “새로이 출범하는 우리금융지주가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과 혁신을 촉발하고 금융산업 전반의 활력을 높이는 데 앞장서달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신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