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靑경제수석이 언급한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 효과

靑경제수석이 언급한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 효과

등록 2018.06.04 07:43

우승준

  기자

공유

홍장표 경제수석비서관이 3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홍장표 경제수석비서관이 3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

홍장표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이 3일 마이크를 잡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국가재정전략회의 때 언급한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인 효과가 90%”라는 발언의 뜻을 설명하기 위해서다. 당초 일각에서는 최저임금 인상의 효과 근거와 관련 다양한 의문을 제기한 바다.

홍장표 경제수석비서관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통계청은 지난달 24일 올해 1/4분기 ‘가계동향조사’를 통해 소득 1분위(소득하위 20%)의 소득이 작년보다 8% 감소했고, 이로 인해 하위 20%-상위 20% 소득격차가 급격히 늘어났나는 결과를 발표했다”고 운을 뗐다.

홍장표 경제수석비서관은 “최저임금 인상 등 정부가 일자리의 질을 개선하고 가계소득을 확충하기 위해 노력한 것에 비추어 보면 뜻밖의 결과였다. 당연히 ‘가계동향조사’ 발표 내용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을 통해 그 원인을 밝혀내는 것이 중요했다. (그래서) 로우(raw)데이터를 가지고 관련 국책연구기관으로 하여금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도록 했다”고 했다.

홍장표 경제수석비서관에 따르면, 조사대상가구 중 근로자가구 소득은 전체가구 조사결과와 다르게 전 분위에 걸쳐 평균소득이 증가했다. 또 가구별 근로소득이 아닌 개인근로소득으로 소득분석을 한 결과, 저소득층 소득증가율이 고소득층에 비해 높았다. 이는 가구주와 배우자 이외 기타 가구원 소득을 1명의 소득으로 간주하고 분석한 수치다.

홍장표 경제수석비서관은 이 같이 밝히면서 “‘가계동향조사’에 포함된 근로소득은 현 시점에서 개인별 근로소득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라고 밝혔다. 계속해서 “이 근로소득 자료를 가지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고자 최선을 다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고 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국가재정전략회의 때 “(최저임금 인상 관련) 근로자가구는 모든 분위에서 소득이 증가했다. 그리고 고용근로자들의 근로소득 증가와 격차 완화, 중산층가구 소득증가는 올해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 효과”라면서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인 효과가 90%”라고 했다.

뉴스웨이 우승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