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공정위 “상위 10대 대기업 독과점 집중도 높아”

공정위 “상위 10대 대기업 독과점 집중도 높아”

등록 2018.04.26 18:14

주현철

  기자

공유

공정위, ‘2015년 기준 시장구조조사’ 결과 발표종사자 비중은 매출·부가가치 비중의 절반 미만

자료= 공정위 제공자료= 공정위 제공

대기업이 독과점 지위를 누리는 산업일수록 집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6일 통계청의 경제총조사를 기반으로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15년 기준 시장구조조사’를 발표했다.

광업·제조업 분야 매출액 중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46.5%,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4.0%, 종사자 비중은 18.3%로 나타났다. 대기업 근로자 수와 비교할 때 매출액과 부가가치 비중이 훨씬 큰 것이다.

상위 10대 대기업에 한정한다면 매출액은 32.4%, 부가가치는 33.8%, 종사자 수는 12.1%, 11~30대 기업은 매출액 7.8%, 부가가치 5.4%, 종자사수 3.5%로 나타나 상위 10대 대기업과 11~30대 기업의 편차도 심했다.

그러나 대기업의 비중은 매출액, 부가가치, 종사자 수 모두 2012년을 기점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과 부가가치 및 종사자수는 2012년 783조원(52.0%·이하 비중), 238조원(50.3%), 531명(19.2%)를 기록한 뒤 하락, 2015년 667조원(46.5%), 219조원(44.0%), 542명(18.3%)로 줄었다.

상위 3개 사업자에 대기업 소속기업이 1개 이상 포함된 산업을 보면, 이 세 기업 점유율의 합은 49.2%지만 대기업 소속기업이 포함되지 않았거나 참여하지 않은 산업의 점유율 합은 각각 28.9%, 45.2%로 나타났다.

대기업이 참여해 높은 순위를 점하고 있는 산업의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공정위는 전했다.

하지만 대기업이 뛰어들지 않은 산업의 집중도가 40%대로 상대적으로 낮지 않았다는 점은 중소·중견기업이 다시 독과점을 형성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단 분석이다.

서비스업 등 분야를 보면 매출액 기준으로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1.6%, 종사자 수는 6.4%였다. 상위 10대 대기업에 한정할 경우 전체에서 차지하는 매출액 비중은 12.1%, 종사자 수는 3.1%였다.

서비스업 등은 광업·제조업과는 반대로 매출액과 종사자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매출액은 18.5%, 종사자 수는 5.5%였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