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는 19일 모바일 내비게이션 카카오내비에 ‘119 긴급 출동 알림’ 기능을 탑재했다고 밝혔다.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해 119 차량이 출동하면 출동 경로상에서 카카오내비를 이용 중인 운전자에게 사고 발생 정보와 119 차량의 접근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제공
카카오모빌리티는 19일 모바일 내비게이션 카카오내비에 ‘119 긴급 출동 알림’ 기능을 탑재했다고 밝혔다.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해 119 차량이 출동하면 출동 경로상에서 카카오내비를 이용 중인 운전자에게 사고 발생 정보와 119 차량의 접근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119 긴급 출동 알림 기능은 카카오내비 서버와 소방청의 정보 시스템을 연동해 개발했다. 사고 신고가 접수돼 119 차량이 출동하면 카카오내비 서버로 사고 지점과 출동 차량의 위치가 10초 간격으로 전송된다. 카카오내비는 이를 분석해 119 차량과 사고 지점 인근에서 카카오내비를 이용 중인 운전자에게 팝업과 음성 안내를 통해 사고와 출동 정보를 안내한다. 교통 사고가 발생하면 도로 전방의 사고 정보를 알리고 안전 운전을 당부하며 119 차량이 접근하면 접근 여부를 알리고 출동에 협조할 것을 요청하는 식이다. 카카오내비 이용자들은 사고, 출동 정보를 사전에 인지해 2차 사고를 예방하고 적극적으로 119 차량 출동에 협조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와 소방청, 국토교통부는 해당 기능을 경기도 관내 고속도로에 우선 적용하고 올 상반기 중 전국 고속도로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토교통부는 119 긴급출동 알림 정보를 고속도로 전광판에도 표출해 안전 운전 환경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생활을 더 편리하게 만드는 것에서 한 걸음 나아가 사회적 차원에서 힘을 보탤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카카오모빌리티의 빅데이터와 모바일 기술 역량이 시간을 다투는 위급한 순간 등 꼭 필요한 시점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10월 카카오택시를 카카오 T로 리브랜딩하며 모두의 이동을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언한 데 이어 12월 ‘2017 카카오모빌리티 리포트’를 공개했다. 카카오 T, 카카오내비, 카카오맵 등 카카오의 이동 관련 서비스 빅데이터를 분석해 각각 일상, 상권, 정책을 주제로 정리해 교통 정책, 지역 상권, 일상생활 등 공익에 기여하고자 했다. 카카오모빌리티 리포트는 카카오모빌리티 브런치 계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웨이 김승민 기자
ksm@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