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김현종 “美, 한미 FTA 폐기 언급 없었다”

[일문일답]김현종 “美, 한미 FTA 폐기 언급 없었다”

등록 2017.08.22 20:11

주현철

  기자

공유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2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가능성에 대해 “만약에 폐기됐을 경우에 미국 측에게도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것라는 점을 미국 측에 계속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FTA 폐기에 대한 언급은 안 나왔는가라는 질문에 “폐기란 단어 언급은 없었다”고 답했다.

다음은 김 본부장과의 일문일답.

-우리 측의 조사, 분석, 평가 제안에 대한 미국 측의 반응은.
▶우리 제안에 대해 워싱턴 DC 귀국 이후 검토한 뒤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만약 미국 측에서 공동 조사 제의를 거절할 경우 개정 협상은 없는 것인가.
▶우리 측 협상팀은 모든 가능성을 염두하고 철저히 대비했고 미국의 강경한 요구에 당당하게 대응했다. 우리 측은 한미 효과에 대해서 조사, 분석, 평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여러차례 강조했지만 미국은 개정 협상에 대해서 합의하지 않았다.

-라이트하이저 대표와 대화한 소감은 어땠는지.
▶라이트하이저 대표는 아시다시피 상당한 경험과 경륜이 있는 통상협상가다. 스캐든에서 같이 근무한 적이 있다. 그래서 모든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협상 준비를 해 나갈 것이다.

-추후 일정에 대해서 아직 잡히지 않았다고 했는데 나프타 같은 경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런 것과 비교했을 떄 우리 일정은 어떻게 전망하는
▶미국의 적자 원인이 무엇인지 미국 측 답변을 기다릴 것이다. 추후 일정은 실무채널 또는 외교채널을 통해 연락하고 열린 마음으로 미국 측 제안을 검토할 것이다.

-앞으로 협상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어떤 것인가.
▶우리가 합의를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어떤 이슈가 어렵다’ 이렇게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미국 측은 무역 불균형 해소, 그리고 한미 FTA 충실한 이행, 한미 FTA 개정 및 수정 등을 제기했다. 우리 측은 이에 대해 한미 FTA가 무역적자 원인이 아님을 주장, 그리고 강조하면서 2012년 발효한 이후 지난 5년간 양국 간 교역투자, 고용 등이 있어 상호호혜적인 혜택을 거뒀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래서 한미 FTA 발효 이후에 효과에 대한 양측이 공동으로 객관적인 조사·분석·평가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자고 제안을 한 것이다.

-미국 측 답변은 언제쯤으로 예상하는지.
▶그것은 실무자들 협상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다. 적절한 시기에 우리가 준비됐을 때 그리고 제가 부임한지 2주밖에 안된걸 미국 측 대표가 알고 있지 않겠나. 협상팀을 구성해야하는걸 감안해서 우리 페이스대로 답을 하고 받으면 된다.

-공식서한이나 답변이 오기 전에 실무적인 협의를 진행하는가.
▶그런 것은 지금 생각 안 하고 있다. 지금 협의가 하나도 안 이뤄진 상태다.

-FTA 폐기 언급은 안 나왔는가.
▶한미FTA 개정 협상 추진 관련해 양국 간 합의된 게 없다. 현 상황에서 페기를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우리는 모든 가능성을 열고 협상을 진행해야한다. 만약 페기 될 경우 아마 미국 측에도 상당한 경제적 손실이 오기 때문에 우리가 미국 측에 계속 설명을 할 것이다.

-오늘 국회에서 한미 FTA 현상 유지가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했는데 미국 측을 염두해 의도적으로 전한 것인가.
▶기사를 자세히 읽어보면 제목이 틀 밖에서 뽑혔다. 쉽게 말하면 한미 FTA가 없는 것보다 있는것이 낫다고 말한 것이다. 미국 측에 우리가 더 유리하다는 메세지를 남기려는 의도는 없었다.

-미국 측에서 FTA 폐기라는 언급이 있었는지.
▶페기란 단어는 없었다.

-수정이나 재협상에 대해 미국 측이 자기들이 생각하는 시한을 언급 했는지.
▶시한에 대해서는 미국 측에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 그러나 참고로 나프타 협상은 미국이 3주에 한 번씩 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

-국회에서 결론을 도출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는데 이 결론이라는 게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
▶TPP 관련해서는 검토하겠다.

-미국 측을 만나보니까 취약점이 간파되는가.
▶협상에서는 가장 좋은 협상 결과는 양측이 조금 아쉬워하면서 헤어지는 게 가장 좋은 협상의 결과다.

-미국 측에서 개정과 수정이라는 표현에 대해서 다른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느끼셨나.
▶우선 USTR 측은 오늘 7월 12일에 대한 서한과 똑같이 재협상이라는 단어를 안 쓰고 협정문상의 개정 아니면 수정이라는 용어를 사용을 했다. 우리가 생각해 보면 아마 국내 절차를 생각해서 그렇지 않았겠는가. 용어상 의미 차이에 대한 과도한 해석과 반응보다는 실질적인 협의내용이 더 중요한 시점이라고 보고 있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