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재계, “文대통령, 블라인드 채용 취지 찬성”···현실 가능성은 ‘글쎄’

재계, “文대통령, 블라인드 채용 취지 찬성”···현실 가능성은 ‘글쎄’

등록 2017.06.22 18:56

수정 2017.06.22 18:57

주현철

  기자

공유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제공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제공

재계는 문재인 대통령이 블라인드 채용제도 공식 발표 후 민간 대기업까지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권유한데 대해 일단 취지에 공감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만 현실화가 가능할 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22일 오전 청와대에서 “당장 이번 하반기부터 공무원이나 공공부문에서 채용을 할 때 블라인드 채용제도를 실시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어 “공무원과 공공부문은 정부의 결정만으로 가능하니 그렇게 추진해주고, 민간 쪽은 법제화되기 전까지 우리가 강제할 수 없다”면서 “민간 대기업들에도 권유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미 대기업을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는 만큼 문 대통령의 발언으로 이런 추세가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단 재계는 새 정부가 제도를 이행하는 의도는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개별 기업의 자율성을 침해해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내놨다.

삼성그룹의 경우 정기 채용시 이력서에 생년월일과 학력 등 최소한의 인적사항만 기재하도록 하고, 이를 당락의 기준으로도 삼지 않는 ‘열린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차그룹도 스펙보다는 개인능력과 인성을 평가한다는 차원에서 2013년부터 해마다 단계적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상당수 기업은 더이상 채용 과정에서 신체조건이나 출신지역 등을 따지지 않는 등 블라인드 채용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면서 “그런 차원에서 문 대통령 발언 취지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다만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은 해당 기업이 가장 잘 알고, 그에 맞춰서 채용 절차를 자율적으로 진행하면 되는 것”이라며 “개별 기업의 특수성은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정 경쟁이라는 취지 자체에는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할 지에 대해서는 확신할 수 없다는 입장도 있다. 재계 관계자는 “확대될 수는 있겠지만 블라인드 채용을 권고한다는 게 큰 의미가 있는 지 모르겠다”며 “사실 완전한 블라인드 채용은 직무 특성 등에 대한 고려가 없어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