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삼성생명, 지주 전환 흐름 빨라진다

삼성생명, 지주 전환 흐름 빨라진다

등록 2016.11.29 17:26

김아연

  기자

공유

삼성전자, 지주사 전환 가능성 공식 언급증권가, 삼성생명도 금융지주사 전환 전망

삼성전자가 장기적 안목에서 지주회사 전환을 공식 검토키로 하면서 삼성생명의 금융지주사 전환 흐름도 더 빨라질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29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회사 전환 가능성 등 주주가치 최적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중립적인 입장에서 지주회사를 포함해 기업의 최적 구조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지주회사 전환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의 인적분할 후 삼성전자 투자부문(홀딩스)과 삼성물산의 합병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인적분할 후 투자부문과 사업부문간의 주식 스왑, 삼성물산과의 합병 등을 거치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전자 홀딩스의 지분을 최대 40%대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이 과정에서 삼성생명은 금융지주사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됐다. 삼성전자 홀딩스가 삼성물산과 합병할 경우 삼성물산이 실질적으로 일반지주회사가 돼 지주회사법에 따라 자회사나 손자회사로 금융회사를 둘 수 없기 때문이다. 삼성생명이 금융지주사가 되더라도 ‘중간지주회사법 개정안’이 통과돼야하지만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기업집단 지주사 체제 전환을 명분으로 중간금융지주회사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서는 등 분위기는 삼성에 유리하게 흘러가고 있다. 삼성생명이 중간금융지주회사로 전환할 경우 삼성물산이 일반지주회사로 바뀌었을 때 보유하고 있는 삼성생명 지분 19.4%를 처분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에 중간지주사법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더라도 삼성생명의 인적분할 등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할 것으로 증권가는 보고 있다. 삼성물산을 삼성전자 홀딩스와 합병하지 않거나 삼성물산을 일반지주사와 금융사로 분할한 뒤 인적분할 한 삼성생명 투자회사와 합쳐 금융지주사로 바꾸는 등 여러 결말이 열려있다는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삼성생명이 삼성전자 지분을 처분하면 남은 삼성화재 지분 확보 자금을 마련해 완벽한 금융지주사로 전환할 수 있다.

김준섭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인적분할이 사실화 됐을 뿐 나머지는 바뀐 것이 없다”며 “중요한 것은 삼성전자 인적분할 전후에 어떻게 최대주주의 지분율을 높이느냐가 선결과제로 방안이 워낙 많다”고 말했다.

이어 “무조건 그렇게 된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현재로선 삼성생명의 금융지주 전환 방향으로 갈 것으로 보고 있다”며 “삼성생명이 금융지주로 전환되면 가지고 있는 전자지분을 처분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김아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