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ICT 수출 5개월 연속 뒷걸음

ICT 수출 5개월 연속 뒷걸음

등록 2016.03.10 13:11

현상철

  기자

공유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7개월 연속 마이너스ICT 대중 수출비중 4개월 동안 10%p 하락

(자료 = 산업부 제공)(자료 = 산업부 제공)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수출비중이 가장 큰 반도체 부문의 수출이 급감했고, 대(對)중국 수출도 두 자릿수 감소폭을 이어간 영향을 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월 ICT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9.8% 감소한 114억700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ICT 수출은 지난해 10월(-1.6%)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ICT 전체 수출의 35%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반도체 수출이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폭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7.5%) 마이너스로 전환된 뒤 11월 10%까지 떨어진 수출은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2월 반도체 수출은 41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2.8% 떨어졌다. 메모리 단가 하락과 시스템반도체 부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2월 3.4달러였던 D램 단가는 올해 2월 1.8달러까지 하락했다.

디스플레이 수출도 23.4% 감소한 19억4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8월(-7.6%)부터 7개월 연속 감소세다.

반면 휴대폰은 중저가폰의 미국 수출 확대와 베트남 등에서 부분품 수출 확대로 2.8% 증가한 19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스마트폰 수출은 신제품 초도물량 수출 호조로 4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도 8.8% 증가해 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역별로 보면 국내 ICT 수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중 수출이 지난해 12월(-10.4%)부터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2월에도 15.6% 하락한 55억5000만 달러에 그쳤다.

중국 수출이 감소하면서 대중 수출비중도 4개월 만에 10%포인트나 하락했다. 산업부는 중국은 현지 정부의 지원, 생산 업체의 기술 향상 등으로 해외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EU도 경기 부진과 반도체(-26.9%), 디스플레이(-53.1%), 휴대폰(-19%) 등 주요 품목 수출 감소로 11.6% 하락했다.

대미(對美) 수출은 3개월 동안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2월 전년 동월대비 22.8% 증가해 반전에 성공했다. 휴대폰(60.7%), 디스플레이(42.6%) 수출 호조가 영향을 미쳤다. 아세안(15.5%), 인도(9.4%) 등에 대한 수출도 늘었다.

ICT 수입은 68억8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5%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45억900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전체 74억 달러 흑자 달성을 견인했다. 중국(33억8000만 달러), 미국(6억8000만 달러), EU(2억 달러)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에 대해서는 4억9000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관련태그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