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글로벌경제 6년만에 턴어라운드?···세계경제기구, ‘장밋빛 전망’ 내놔

글로벌경제 6년만에 턴어라운드?···세계경제기구, ‘장밋빛 전망’ 내놔

등록 2015.12.29 14:52

현상철

  기자

공유

해외IB “내년 세계경제성장 올해보다 나아진다” 전망글로벌 경기회복 시 韓경제 훈풍 예상···리스크 극복이 관건

내년 세계경제가 각종 리스크 속에서도 올해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글로벌 경기변화에 민감한 우리경제도 동시에 순풍이 불 수 있다는 기대감도 적잖게 나오고 있다.

29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6년 만에 반등이 예상된다. 주요 분석기관들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3.1%(2.9~3.1%)에서 내년 3.4%(3.2~3.6%)로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올해 3.1%에서 내년 3.6%, UN은 3%에서 3.6%, OECD는 2.9%에서 3.3%로 각각 예측했다.

해외 투자은행(IB)들도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이 올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분석기관 별 내년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사진 = 국제금융센터 제공)주요 분석기관 별 내년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사진 = 국제금융센터 제공)


골드만삭스는 올해 3.1%에서 내년 3.5%로 0.4%포인트 나아질 것으로 봤고, BoA메릴린치·바클레이스·UBS는 3.1%에서 3.4%로, 도이체방크·모건스탠리는 3.1%에서 3.3%, HSBC(3.2%→3.3%), 씨티(3.0%→3.2%), 노무라(3.1%→3.2%), BNP파리바(3.1%→3.2%) 등도 모두 내년 세계경제가 올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선진국의 성장이 내년에도 지속되고, 신흥국 경제가 6년 만에 반등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미국이 내년에도 2%대 후반의 성장을 지속하고, 유럽과 일본의 경기회복세 강화 여부가 관건”이라며 “신흥국도 중국의 급격한 둔화, 브라질과 러시아 경기침체가 지속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세계경제가 내년 회복세에 돌아섬에 따라 우리경제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글로벌 무역이 회복세를 보이면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도 청신호가 켜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세계경제가 3.6%성장하면 한국의 경제성장률도 3%대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단, 리스크도 존재한다. 안남기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수급불균형으로 원자재 가격이 추가 하락하면 수출국 피해, 원자재 기업의 재무상황 악화, 선진국 디플레 관리 어려움 등의 부작용이 확산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의 자금이탈, 중국의 성장둔화도 우리경제에 부담이다.

이에 일부 해외 투자은행(IB)은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보다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독일의 데카방크는 올해 2.5%에서 내년 2.1%, 모건스탠리(2.4%→2.2%), 다이와(2.5%→2.3%), 씨티(2.5%→2.4%) 등이 대표적이다.

LG경제연구원도 올해 2.6%에서 내년 2.5%로 오히려 우리 경제성장률이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LG경제연구원은 내년 미국의 경기둔화, 중국의 성장감속,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세계경제 환경이 올해보다 좋지 못할 것이라며 우리나라 수출도 0.7%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