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강호인 국토장관 취임 한달 ··· 건설사 후들후들

강호인 국토장관 취임 한달 ··· 건설사 후들후들

등록 2015.12.15 15:27

김성배

  기자

공유

강호인 취임일성서 체질개선 주문···원가공개 등 업계요구 사실상 거부···삼성·현대 등 대형건설 사장들 간담회 불참

지난 2일 열린 강호인 국토부 장관 건설업계 조찬 간담회에서 강 장관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출처=국토교통부)지난 2일 열린 강호인 국토부 장관 건설업계 조찬 간담회에서 강 장관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출처=국토교통부)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이 취임 일성으로 건설사 구조조정을 꺼내놓으면서 업계가 긴장모드에 돌입했다. 강 장관은 취임 이후 업계와의 간담회에서 위기극복 방안을 위해 사업장 정보 공개 문제 해결 등의 요구는 사실상 외면한 채 기업의 체질개선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15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과 건설업계 최고 경영자(CEO)들이 지난 2일 건설산업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건설업계에선 최삼규 대한건설협 회 회장을 비롯해 박기풍 해외건설협회 회장, 박영식 대우건설 사장, 임병용 GS건설 사장 등이 참석했다.

최근 주택시장이 살아나긴 했지만 기반시설 사업 등 전반적인 국내 건설시장은 정 체돼 있고, 저(低)유가 영향으로 해외 플랜트 수주시장이 급격히 위축되는 등 한국 건설업계가 내우외환에 시달 리고 있다는 데 대해 인식을 공유했다.

하지만 건설산업 위기에 대처하는 방안에 대해선 강 장관과 건설업계가 극히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 강 장관 은 우선 중·장기 청사진을 들고 나오며 업계 스스로 쇄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설업계가 스스로 진화하 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렵다며 자정을 촉구한 것이다.

강 장관은 “지금의 위기는 단순한 경기 순환의 문제라기보다는 경제와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려면 단순 시공 능력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사업기획, 프로젝트 관리·시공·운영뿐 아니라 건설금융·외교를 포 괄하는 경쟁력 있는 산업생태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강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건설업계 전반의 문제점을 짚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개혁 드라이브를 걸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의미다.

건설업계 구조조정 한파도 예상된다. 금융당국의 기업 구조조정이 임박한 상황에서 주무 수장인 강 장관마저 부실기업에 대한 퇴출을 강력히 주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실제 강 장관은 “시장기 능을 강화해 부실기업의 퇴출이 가능 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입찰제도와 보증제도의 변별력을 높여 시장기능 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업계는 건설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 조치부터 보완하거나 연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건설원가가 공개되면 수주경쟁력이 악화돼 더 큰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는 얘기다. 일단 발등의 불부터 꺼줘야 업계가 활성 화될 수 있다고 맞선 셈이다.

이들은 지난 10월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수주산업 회계 투명성 제고방안’ 에 따라 주요 사업장 정보공개 의무가 적용되면 국내 건설업체들의 해외 수주 경쟁력은 크게 약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사업장에선 해외 발주처가 사업 이익구조를 들여다본 뒤 공사 대금 을 후려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 회장은 “투명성 제고방안에 따라 주요 사업장별 공사진행률·충당 금·미청구공사 등이 공개되면 해외 경쟁사가 국내 건설회사의 공사 원가를 추정해 입찰에 역이용할 수 있다” 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건설회사와 엮이면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것 때문에 해외 업체들이 우리와 컨소시엄도 맺지 않 으려 할 것”이라며 “문제가 상당한 만큼 제도 도입을 연기하거나 세부 기준 을 수정할 수 있도록 국토부가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배 기자 ksb@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