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SKC, 철도용 탄성패드 공급계약 체결···첫 국산화 성공

SKC, 철도용 탄성패드 공급계약 체결···첫 국산화 성공

등록 2015.10.22 09:50

차재서

  기자

공유

정기봉 사장 “2020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 30% 달성할 것”

철도용 탄성패드 구조도 사진=SKC 제공철도용 탄성패드 구조도 사진=SKC 제공


SKC가 원주-강릉간 신설 고속철도 한국형 레일체결장치의 핵심부품인 탄성패드(Elastic Pad)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탄성패드는 레일을 고정시켜 주는 레일체결장치에 장착돼 운행 중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고기능성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제품이다.

SKC는 독자적인 개발을 통해 그간 전량 수입에 의존해온 철도용 탄성패드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SKC의 철도용 탄성패드 국산화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전후방산업협력위원회’의 첫 성공사례로 꼽힌다. SKC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한국 철도사업의 해외 진출에 국내 부품·소재기업들과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SKC는 고속철도용 탄성패드 외에도 일반철도용과 지하철 및 트램(도시철도)용 레일패드 개발에 성공하며 전라선과 대구지하철 등에 시험 부설했다. 올해 안에 테스트를 마치고 2016년부터 본격적인 공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정기봉 SKC 사장은 “철도용 탄성패드 상업화는 SKC의 폴리우레탄 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킨 사례”라며 “중국과 베트남, 몽골 등 신규 철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국가를 중심으로 글로벌 마케팅을 전개해 2020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 30%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계 철도시장은 4000억원 규모이며 SKC는 현재 세계 철도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시장을 비롯해 일본과 기타 신흥국가 진입을 위해 대상 국가별로 품질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차재서 기자 sia0413@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