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거래소, ETF 시장 국제화 추진

거래소, ETF 시장 국제화 추진

등록 2015.10.05 16:21

김아연

  기자

공유

한국거래소가 해외지수상품을 다양화하고 외국 유수 ETF의 국내상장 추진, 해외거래소와 교차상장 및 공동지수상품 상장을 통해 ETF 시장의 국제화에 나선다.

거래소는 ETF, ETN 등 증권상품시장을 저금리·고령화시대 종합 자산관리시장으로 육성하기 위한 ‘2020 비전’을 수립, 오는 2020년까지 ETF·ETN 시장을 순자산 총액 60조원, 상장종목 수 600개, 하루 평균 거래대금 2조원 규모로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현재 증권상품시장 규모는 순자산 총액 22조원, 상장종목 수 246개, 거래대금 7000억원 수준으로 거래소는 다양한 신상품 공급, 시장규제 개선, 국제화 등을 통해 시장 성장을 도모할 방침이다.

특히 ETF의 경우 해외 유망업종 및 신흥개발국 ETF 상품을 비롯해 위안, 엔 등 통화 관련 ETF, 중국 국채 등 해외채권 ETF를 상장하며 해외 직접투자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다양한 외국 ETF의 국내상장도 추진한다.

또 아시아 지역 거래소와 대표지수 상품의 교차상장을 활성화하며 한국, 홍콩, 대만, 중국, 일본, 인도 등 아시아시장을 반영하는 아시아종합지수를 공동개발하고 관련 ETF도 상장할 예정이다.

규제도 완화해 ETF 상장심사 기간은 45일에서 20일로 단축되고 핀테크·바이오 등 테마형 상품, 업종별 레버리지·인버스 ETF도 상장한다.

ETN 시장의 경우 레버리지 ETN, 변동성지수선물 ETN 등을 상장하며 중국과 인도 등 신흥시장을 비롯한 해외 유망시장 관련 ETN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또 발행회사를 국내 증권사에서 외국계 증권사까지 확대해 ETN 시장의 성장을 도모한다.

아울러 현재 ETN은 자기자본 1조원 이상 등 재무요건을 충족하는 국내 증권사가 발행하고 있으나 자기자본 규모가 작은 외국계 증권사도 본사 보증을 거쳐 ETN을 발행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거래소는 설명했다.

거래소는 “12월까지 거래소 규정 개정 및 시스템 개발을 마치고 ETF 시장 발전 방안을 신속하게 이행하겠다”며 “내년에도 ETF 시장 국제화와 ETN 시장의 조기 정착을 위한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아연 기자 csdie@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아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