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담뱃값 인상, 정부와 편의점만 웃었다

담뱃값 인상, 정부와 편의점만 웃었다

등록 2015.10.02 16:35

현상철

  기자

공유

8월 편의점 ‘담배 등 기타’ 매출 68%↑
담뱃값 인상 빼면 소비자물가상승률 ‘0’
정부, 상반기 담배 세수 1.2조원 늘어

담뱃값 인상, 정부와 편의점만 웃었다 기사의 사진


국민 건강증진 목적을 내걸고 올해 초 인상된 담뱃값이 정부와 편의점에게만 미소를 짓고 있다.

작년부터 정부가 강조하던 금연효과는 시들어졌고, 대신 정부 예상보다 많은 추가 세수입이 생겼다. 한 갑당 2000원이라는 가격 상승으로 편의점 매출은 2~3월 이후 급격히 올라갔고, 담배와 함께 팔리는 음료 등의 식품도 덩달아 매출이 늘었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8월 편의점의 생활용품과 잡화를 제외한 담배 등 기타 부문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68%나 뛰어 올랐다.

올해 1월 매출이 5.3%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3월 46.4%로 급등한 뒤 꾸준히 올라 8월 68.1%로 매출이 늘었다. 금연효과는 사라지고 담뱃값 인상효과만 남은 것이다.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적었던 올해 1월(5.3%)과 2월(7.7%)을 포함한 8월까지의 담배 등 기타 부문의 누적 총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6%나 늘었다.

담뱃값 인상에 힘입어 올해 8월까지 편의점의 누적 총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4.9% 늘었다. 8월 매출은 지난해보다 34.3% 증가했다.

점포 하나당 매출액도 담뱃값 인상에 대한 체감도가 가장 높았던 올해 1월(-1.1%)을 제외하고 2월부터 점차 증가하다 8월에 22.7% 상승했다.

담뱃값 인상으로 소비자물가도 올랐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보다 0.6% 상승했다. 하지만 담배 및 주류 기여도가 0.59%포인트다. 담뱃값 인상을 제외하면 사실상 0%라는 얘기다.

세수도 늘면서 정부의 잔주름을 펴주고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담뱃값 인상 6개월 간 ‘담배 세수’는 1조2100억원 늘어났다. 담배 판매로 거둔 세금은 작년 상반기 3조160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4조3700억원으로 늘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담뱃값 인상으로 7월 한 달 3000억원의 세수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지난 9월 정부는 내년 담배반출량을 당초 예상보다 6억갑 늘려 34억6000만갑으로 정정했다. 이에 따라 담뱃값에 포함된 국민건강증진부담금도 5737억원 증가할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