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의화 의장 남북 국회의장 회담 제의에 與野 “환영”

정의화 의장 남북 국회의장 회담 제의에 與野 “환영”

등록 2015.07.17 17:06

문혜원

  기자

공유

통일부 “공식·비공식 중 정 의장 의중부터 파악해야”

정의화 국회의장은 17일 ‘북한 최고인민회의 측에 남북 국회의장 회담 개최를 공식 제의했다. 여야는 이에 즉각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반면 정부 측은 유보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제67주년 제헌절 경축식 축사에서 “회담이 성사된다면 남북 국회의 대표자들이 한 자리에서 대화를 하는 것만으로도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 의장은 “다가오는 광복절 즈음이 가장 좋은 때라고 생각한다”면서도 “구체적인 일정과 장소는 북측의 의사를 전폭적으로 수용하겠다. 언제, 어디서든 만나겠다”고 말했다.

이어 “남북이 서로를 인정하는 가운데 끊임없이 소통하고 교류함으로써 신뢰를 쌓고, 그 신뢰의 토대 위에 남과 북의 주민들이 함께 통일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이것이 바로 ‘합의통일’”이라며 “인도적이고 비정치적인 분야부터 대화와 교류를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 의장이 남북 국회의장 회담에서 논의할 만한 주제로 제시한 것은 보건의료협력을 비롯한 인도적 문제와 북한지역 나무심기와 문화유산 보존사업 등의 비정치적 분야 남북협력사업 등이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경축식이 끝난 뒤 “5·24 조치라는 기본 스탠스는 유지를 해야 하지만 남북 간 긴장 완화의 물꼬를 틀 필요는 있다”면서 “좋은 제안”이라고 추켜세웠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역시 “남북교류는 다양한 채널로 이뤄져야 한다”며 “특히 정부 간의 대화가 막혀 있을 동안은 국회의장이라든지 다양한 차원의 대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정 의장을 두둔하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정부 측은 정 의장의 이러한 제안을 구체화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조금 더 두고 봐야할 것 같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북측에 이러한 제안을 제시하는 데에는 기존 남북 간 활용해 온 전통문 형식의 공식적 전달 방법이 있고 비공식으로 전달하는 방법도 있다”며 “일단 정 의장쪽에서 어떤 방식을 원하는지를 우리가 먼저 파악을 해봐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문혜원 기자 haewoni88@

뉴스웨이 문혜원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