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여야, 이종걸 ‘절충안’에 모두 부정적

여야, 이종걸 ‘절충안’에 모두 부정적

등록 2015.05.19 10:25

문혜원

  기자

공유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공무원연금 개혁 처리 ‘돌파구’로 제안한 ‘절충안’인 기초연금 강화에 대해 여야 모두 부정적 반응을 보이면서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7일 이 원내대표는 공무원연금 개혁안 처리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50%로 인상’ 대신 기초연금 보장 대상을 기존 소득 하위 70%에서 90~95% 수준으로 확대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일단 새누리당은 공무원연금 개혁안과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인상은 별개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8일 당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원내대표의 절충안은)논의해 볼수는 있지만 사회적 기구에서 논의할 문제인데 결론을 못 박아놓고 논의하면 사회적 기구는 필요가 없어진다”며 “일단 공무원연금법을 빨리 통과시키고 사회적 기구에서 야당이 주장하는 것을 열어놓고 논의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기초연금이든 국민연금이든 지급하는 비율이 있는데 그런 것과 관련해 비율을 못 박을 순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또 “야당의 조건은 28일 본회의 통과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여당에서 주장해왔던 선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 역시 당 내부에서조차 의견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문재인 대표와 공무원연금개혁특위 야당 간사인 강기정 정책위의장 등 핵심 지도부는 반대의 뜻을 밝혔다.

문 대표는 18일 광주 5·18민주묘역 참배 후 기자들과 만나 “당내에서 충분히 논의가 이뤄져 방향이 정립된 것은 아니다”라며 “이 원내대표가 원내대표부를 지휘하는 대표로서의 견해를 일단 말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강 정책위의장은 “지난 2일 여야 합의를 기초로 공적 연금 강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가 만들어지면 (이 원내대표의 절충안을)다룰 수 있을지 몰라도 지금 논의될 내용은 아닌 것 같다”며 “옳고 그름이나 적정성 여부를 떠나 적절치 않은 주장이다. 한발 앞선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인 김춘진 새정치연합 의원은 “이 원내대표의 의견이 여야가 합의를 지키지 못할 상황이 오면 하나의 대안이 될수는 있다”면서 “이 원내대표가 제의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당의 총의를 모으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이 원내대표의 편에 섰다.

한편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회동해 공무원연금 개혁 협상과 관련 이견 조율에 나섰지만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50% 명시’ 문제를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채 헤어졌다.

문혜원 기자 haewoni88@

뉴스웨이 문혜원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