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김기식 “주식시장 가격제한폭 확대, 개인 투자자 피해만 가중”

[국감]김기식 “주식시장 가격제한폭 확대, 개인 투자자 피해만 가중”

등록 2014.10.15 08:43

최원영

  기자

공유

주식시장 가격제한폭을 30%로 확대하려는 금유위원회 정책이 잘못된 처방이며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만 가중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유의동 의원은 금융위가 추진 중인 주식시장 가격제한폭 확대 정책에 대해 “원인진단과 처방이 둘 다 잘못된 정책”이라며 “해당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8월 금융위는 투자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주가변동 상하한선을 현 15%선에서 30%로 확대해 시장의 역동성을 제고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지난 9월엔 신제윤 위원장이 이 정책을 내년 상반기 중 코스피, 코스닥에 전면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김기식 의원이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상하한가를 기록하는 종목의 비중은 1% 내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 코스피시장에서 상한가는 1683회, 하한가는 456회 발생했는데 거래일수가 247일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하루에 8.6종목이 상하한가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013년 코스피 평균 종목 수 919종목의 0.94%에 해당한다.

이에 김 의원은 가격제한폭 확대에 대해 “전형적으로 원인진단과 해결책 제시가 잘못된 사례”라며 “주식시장이 침체돼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가격제한폭 때문이라고 볼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오히려 가격제한폭을 확대해도 그 영향을 받을 종목은 1%가 될까말까한 상황에서 효과는 미미하고 위험만 키우는 정책이 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의 지적에 따르면 오히려 주가조작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늘어나 주가조작의 유인이 커지며 정보가 부족한 개인투자자들은 막대한 피해를 볼 위험이 생긴다.

김 의원은 “일부 대기업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제구조를 개편하고 국민들의 가처분소득을 올리는 근본적인 처방 없이 기술적인 조치만 가지고는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는다”며 “효과 없는 보여주기식 행정에 불과하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금융위는 서구 선진국에는 가격제한폭 자체가 없다고 하지만 우리 주식시장은 낮은 공시 수준과 잦은 분식회계, 회계감사 제도의 한계와 신뢰도 낮은 신용평가 등 기본적인 시장 여건이 선진국과 현저히 다르다”며 “이런 부분을 먼저 갖춰놓지 않은 채 시장 부양을 위해 개인 투자자의 위험을 키우는 정책은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원영 기자 lucas201@

관련태그

뉴스웨이 최원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