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홍 한화케미칼 대표가 동북아 석유화학산업이 셰일가스 등에 의해 중대한 위기에 직면했으며 중동·북미 진출을 돌파구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 대표는 21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8차 걸프석유화학연맹(GPCA) 연례 포럼에 참석해 ‘파트너십을 통한 혁신’이라는 주제로 연설했다.
이날 방 대표는 “동북아 석유화학 산업은 셰일가스 개발, 고유가로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어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지난 10년간 나프타 기반의 동북아 업체는 고유가로 수익성이 줄어든 반면 저렴한 셰일가스를 이용한 북미지역의 에탄가스 기반 업체는 원가경쟁력이 향상돼 왔다”면서 “향후에는 나프타 크래커(cracker)에 비해 에탄 크래커가 원가 우위에 있음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방 대표는 “이를 위해 중동, 북미 등 원료부문의 경쟁력이 높은 지역으로 진출함에 있어 현지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원가절감은 물론 다양한 기술제휴 사업 등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화케미칼이 추진중인 태양광 산업에 대해 “내년부터 공급 과잉 현상이 해소되고 수요의 꾸준한 성장으로 시황 회복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화케미칼은 국내 석유화학업계 최초로 중동지역에 진출했다. 2009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시프켐(Sipchem)과 합작을 통해 IPC를 설립했고 내년 1분기에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LDPE(저밀도폴리에틸렌)를 연간 20만t 규모로 상업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한편 GPCA는 현재 전세계 30개국 232개사를 회원으로 하는 비영리협회이며 2006년부터 매년 연례 포럼을 개최한다. 올해 포럼은 11월 19일부터 21일까지 두바이에서 다우(Dow), 엑슨모빌(ExxonMobil) 등 글로벌 석유화학기업을 포함해 전 세계 1500여명의 석유화학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3일간 진행됐다.
최원영 기자 lucas201@

뉴스웨이 최원영 기자
lucas20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