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경찰 “성재기 대표, 자살 아닌 사고사···동료들 자살방조 성립 안돼”

경찰 “성재기 대표, 자살 아닌 사고사···동료들 자살방조 성립 안돼”

등록 2013.07.30 21:06

김아연

  기자

공유

경찰이 지난 26일 한강에 뛰어든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에 대한 수사를 마무리하고 성 대표의 투신 장면을 지켜본 동료들에 대해 자살방조 혐의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사진=성재기 트위터)경찰이 지난 26일 한강에 뛰어든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에 대한 수사를 마무리하고 성 대표의 투신 장면을 지켜본 동료들에 대해 자살방조 혐의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사진=성재기 트위터)

경찰이 지난 26일 한강에 뛰어든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에 대한 수사를 마무리하고 성 대표의 투신 장면을 지켜본 동료들에 대해 자살방조 혐의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서울 마포경찰서는 성 대표가 마포대교에서 투신할 당시 현장에 있었던 사무처장 한승오(35)씨 등 3명과 지지자 박모(28)씨 등 4명에 대해 자살방조 혐의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성 대표는 후원금 1억원을 호소하며 마포대교에서 뛰어내린 뒤 사흘만인 29일 시신으로 발견됐으며 한씨 등 4명은 성 대표가 한강에서 투신할 당시 이를 말리지 않아 자살을 방조했다는 비난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경찰은 성 대표가 자살할 의도가 있었던 게 아니라 일종의 퍼포먼스로 준비했던 점을 들어 성 대표가 자살이 아닌 사고사한 것으로 간주했다. 또 성 대표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했던 의도가 없었기 때문에 일행에 대해서도 방조 혐의를 적용하지 않았다.

경찰에 따르면 성 대표는 현장에 인명구조 자격증 소지자인 박씨를 배치하고 인터넷 등을 통해 안전자세, 장소 등을 검색하는 등 나름대로 자구책을 연구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이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해 성 대표의 시신을 부검한 결과 익사한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렸다.

성 대표는 후원금 1억원을 호소하며 마포대교에서 뛰어내린 뒤 사흘만인 29일 시신으로 발견됐다.

김아연 기자 csdie@

뉴스웨이 김아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