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최수현 금감원장 “정책담당자 교체마다 규제 방향 달라”

최수현 금감원장 “정책담당자 교체마다 규제 방향 달라”

등록 2013.05.10 14:45

수정 2013.05.10 14:52

최재영

  기자

공유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규제와 관련해 “정책담당자가 교체될 때마다 규제 방향이 큰 폭으로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원장은 10일 ‘IIF 아시아 CEO 서밋’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법규에 근거가 없는데도 구두지도를 남발하는 등 암묵적 규제가 계속된다면 금융시장 투자 매력을 잃게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최 원장의 발언은 규제를 무조건 완화시킨다는 것이 아닌 체계적인 규제를 만들겠다는 의미다.

최 원장은 “과거 한국의 규제개혁 과정이 항상 성공적이었다고 말하기 어렵다”며 “역대 정부들은 모두 규제개혁을 모토로 삼았지만 일부는 ‘전시성 행정’에 머물렀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규제개혁이 아래로부터 개혁이 아니라 위로부터 개혁에 그쳤기 때문이다”며 “금융개혁이 금융시장 참여자들이 진정으로 기대하는 수준에는 못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1997년 외환위기다 2003년 신용카드 사태, 2011년 저축은행 사태를 예로 들며 규제완화가 금융시스템과 산업경쟁력을 약화시켰다고 설명했다.

최 원장은 “섣부른 규제완화는 금융소비자의 권익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교훈으로 생각해야 한다”며 “일장적인 규제강화나 규제완화가 아닌 규제의 효율성 제고를 모색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앞으로 금융규제와 관련해 ‘개혁’하겠다는 뜻도 나타냈다. 금융시장에서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규제를 강화하겠지만 ‘효율성’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규제라는 카드를 무조건 사용하기 보다는 형평성이 맞게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최 원장은 “과도한 규제는 금융회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금융시장의 자율성과 역동성을 떨어뜨려 경제 전반에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감독당국이 경기가 나쁠 때 금융회사의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는 것은 실물경기 진푹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만들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

뉴스웨이 최재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