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신약 의존 낮추는 신성장 동력 추진계약금 포함 8425억원 규모 글로벌 권리 확보암세포 겨냥 맞춤형 의약품 전략
28일 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팜은 미국 위스콘신대학 기술이전기관으로부터 방사성의약품(RPT) 후보물질 'WT-7695'를 기술도입했다. WT-7695는 암세포 표면 단백질인 탄산탈수효소9(CA9)을 표적으로 하는 저분자 기반 RPT 신약 후보물질이다. 전 세계 연구, 개발, 생산, 상업화 권리를 확보했다. 계약 규모는 계약금 1500만 달러(약 219억원)에 마일스톤 지급 조건까지 포함하면 총 5억7600만 달러(약 8425억원)에 달한다.
WT-7695가 겨냥하는 CA9 단백질은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암세포가 더 활발히 성장하고 퍼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A9은 정상 세포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신장암, 췌장암, 대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서 발현돼 암세포만 골라 공격할 수 있는 맞춤형 치료제로 주목받는다. 전임상 시험에서 WT-7695는 루테늄-177과 악티늄-225 표지체 모두에서 단회 투여로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됐다.
SK바이오팜은 우선 루테슘-177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고 이후 악티늄-225 기반 치료제 확장 가능성도 검토한다. 나아가 암 진단용 방사성 물질인 갈륨-68을 활용해 치료 대상 환자를 선별하는 진단약 개발도 함께 진행해 진단과 치료를 한 세트로 구성하는 전략도 고려하고 있다.
이번 기술 도입은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SK바이오팜의 RPT 신약 개발 전략의 연장선이다.
지난해 7월에는 홍콩 바이오기업 풀라이프 테크놀로지로부터 NTSR1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후보물질 'SKL35501'을 도입했으며 현재 연내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제출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같은 해 프로엔테라퓨틱스와 공동연구 계약을 맺어 이중 타깃이 가능한 '아트바디' 플랫폼을 기반으로 저분자 단백질 후보물질 확보도 진행하고 있다. 저분자 단백질 의약품은 기존 항체 치료제보다 제조비용이 낮으면서 종양 침투력이 높아 부작용과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K바이오팜은 2027년까지 최대 2개의 전임상 후보물질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이 RPT를 차세대 전략 분야로 삼은 이유는 시장 성장성이 빠르기 때문이다. RPT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표적 단백질에 붙여 암세포만 공격하는 치료 기술로 기존 화학항암제보다 효과는 높고 부작용은 적다. 방사성 동위원소 종류에 따라 진단과 치료 모두 가능해 전략적 가치도 크다.
시장조사기관 프리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RPT 시장은 2022년 53억 달러(약 7조원)에서 2033년 136억7000만 달러(약 19조5043억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올해 3분기 SK바이오팜 매출은 1917억원으로 이 중 세노바메이트 매출이 1722억원이다.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회사는 세노바메이트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유지하는 동시에 RPT 등 신규 치료제를 통해 중장기 성장동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한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RPT는 CA9·NTSR1 등 검증된 타깃 기반으로 치료 효과와 차별화 가능성이 높고 177Lu·225Ac 등 차세대 동위원소를 활용한 확장성도 큰 분야"라며 "글로벌 성장세가 빠르고 선점 효과가 중요한 만큼 자사의 신규 모달리티 전략과 부합해 핵심 영역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뉴스웨이 현정인 기자
jeongin06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