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 서울 13℃

  • 인천 14℃

  • 백령 11℃

  • 춘천 15℃

  • 강릉 13℃

  • 청주 16℃

  • 수원 14℃

  • 안동 15℃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6℃

  • 전주 18℃

  • 광주 18℃

  • 목포 17℃

  • 여수 15℃

  • 대구 16℃

  • 울산 15℃

  • 창원 17℃

  • 부산 15℃

  • 제주 18℃

SK��� 검색결과

[총 9,193건 검색]

상세검색

최준용 SK하이닉스 부사장 "HBM4 양산에 만전···7세대도 적기 공급"

전기·전자

최준용 SK하이닉스 부사장 "HBM4 양산에 만전···7세대도 적기 공급"

SK하이닉스는 HBM4 양산을 통해 반도체 시장에서 기술 우위를 다질 계획이다. 최준용 부사장은 HBM4E를 적기에 공급하며 AI 기술 확장에 따른 HBM 수요 증가에 대비한다고 밝혔다. 회사는 HBM4 샘플을 주요 기업에 제공해 인증을 진행 중이며, 고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갖춘 제품으로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다.

트럼프 반도체 관세 예고 여파...삼전·SK하닉 '급락'

종목

[특징주]트럼프 반도체 관세 예고 여파...삼전·SK하닉 '급락'

미국발 반도체 관세 부과 예고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장중 급락하고 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5분 기준 삼성전자의 주가는 전일 대비 4.27%(2400원) 내린 5만3700원으로 거래되고 있다. SK하이닉스 역시 같은 시각 전일 대비 6.64%(1만2100원)원 하락한 17만100원원으로 거래 중이다. 이는 지난 3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 부과 예고 발언으로 투자자들이 매도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유 4사, 액침냉각 시장에 주목···3조원 미래 먹거리

에너지·화학

정유 4사, 액침냉각 시장에 주목···3조원 미래 먹거리

정유업계가 윤활유 사업의 연장선인 미래 먹거리 '액침냉각' 시장에 뛰어들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정유업계는 윤활유 기반의 액침냉각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존에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해 열을 방출하는 '공랭식'과 물이나 냉각수를 활용해 열을 방출하는 방식인 '수랭식'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이보다 한층 더 발전된 액침냉각은 전자기기를 액침냉각유에 담가 열을 식히는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냉각속도가 빠른 점이

KB증권 "SK하이닉스, 반도체 호황 전망" 목표가 28만원 제시

증권일반

KB증권 "SK하이닉스, 반도체 호황 전망" 목표가 28만원 제시

KB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28만원으로 유지하며, 메모리 수요 증가가 D램과 NAND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3분기부터 HBM3E 12단 블랙웰 울트라의 출하가 본격화되며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생산 증가율은 수요를 밑돌지만, 이는 자연 감산 효과를 통해 공급 부족을 심화시킬 전망이다.

배터리도 포함, 당분간 직간접적 타격 불가피

에너지·화학

[관세폭탄]배터리도 포함, 당분간 직간접적 타격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그간 우려했던 배터리마저 관세 품목 대상에 포함되면서 당분간 직간접적인 타격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경내 정원 로즈가든에서 행사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상호관세 방침을 발표했다. 한국에 부과되는 관세는 25%로, 배터리와 석유화학 제품 등

'상호관세' 반도체 예외에도 SK하이닉스·원익IPS 등 업종 약세

종목

[특징주]'상호관세' 반도체 예외에도 SK하이닉스·원익IPS 등 업종 약세

미국이 반도체를 상호관세 미적용 대상 품목에 지정했지만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종목은 약세가 나타나고 있다. 3일 오전 9시 41분 기준 SK하이닉스는 전일 대비 2.63% 하락한 19만2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이날 개장 직후 19만원선이 붕괴되기도 했지만 하락폭이 축소된 상태다. 같은 시각 원익IPS(3.93%), 삼성전자(2.04%), 미래반도체(2.31%) 등도 약보합이 나타난다. 반도체주들이 장 초반 큰 폭의 하락세를 띠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