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석화 구조조정 1호', 오늘 윤곽···롯데케미칼·HD현대, 대산 NCC 통폐합

산업 에너지·화학

'석화 구조조정 1호', 오늘 윤곽···롯데케미칼·HD현대, 대산 NCC 통폐합

등록 2025.11.26 09:56

고지혜

  기자

롯데케미칼, 이날 110만톤 규모 NCC 셧다운 최종 승인HD현대케미칼과 공장 통합·합작사 50:50 설립 논의정부 주도 첫발···연말까지 업계 추가 재편 움직임 활발

사진제공=롯데케미칼사진제공=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충남 대산 석유화학단지 내 나프타분해설비(NCC)를 가동 중단하는 사업재편안을 26일 확정한다. 정부가 추진해온 석화업계 자율 구조조정의 첫 사례가 현실화되는 순간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대산공장 내 연 110만톤 규모의 NCC 셧다운(가동중단)을 포함한 사업재편안을 정식 승인한다. 회사는 앞서 사업 재편안 초안을 정부에 제출해 세부 협의를 마쳤으며 같은 날 정부와 함께 재편안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회 이후에는 확정된 합의안을 관계 부처와 관련 기관에 제출하고 발표 시기 등 후속 절차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롯데케미칼은 HD현대케미칼과 자율구조조정 협상을 통해 공장 통합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번 재편안은 롯데케미칼이 대산 공장 내부의 연 110만톤 규모의 나프타분해시설(NCC) 설비 등을 현물 출자 방식으로 HD현대케미칼 측에 이전하고 HD현대오일뱅크 측은 현금 출자 등의 방식으로 합작사를 설립한 뒤 지분을 50:50 수준으로 정립하는 구조가 거론된다.

대산 석화단지 NCC 통폐합이 현실화되면 연간 195만톤인 에틸렌 생산 규모는 85만톤으로 쪼그라든다. 정부가 추진하는 자율 감축 목표치의 3분의 1가량이 이번 통폐합으로 한 번에 반영되는 규모다.

이번 사업 재편은 8월 20일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자율협약을 체결한 뒤 처음으로 가시화된 구조조정 사례다. 정부는 업계 첫 재편 사례가 마련되는 만큼 관계 부처 합동으로 이행을 속도감 있게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대산 산단 내 두 회사의 사업 재편 확정을 계기로 여수·울산 산단 내 NCC 업체들의 구조조정도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정부가 사업 재편안 제출 시한을 올해 말로 제시한 만큼 업계는 재편안 확정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울산에서는 대한유화, SK지오센트릭, 에쓰오일 등 3사가 외부 컨설팅을 통해 재편 시나리오를 마련 중이며, 여수에서는 LG화학과 GS칼텍스가 NCC 통합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롯데케미칼과 여천NCC의 통합 문제는 공동 주주인 한화솔루션과 DL케미칼 간 이해 조율이 선행돼야 논의가 진행될 전망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