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차입금 감축·재무건전성 개선스윗밸런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배경첨단 기술로 주방 자동화 시스템 구축 예고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워홈, 비핵심 부동산 매각 통해 재무 구조 개선 추진
한화그룹 인수 후 자산 효율화 및 신사업 투자 강화
확보 자금, 신세계푸드 인수와 푸드테크 R&D에 투입 예정
한화그룹 3남 김동선 부사장, 미래 성장 전략 주도
식자재 유통·단체급식 강화, 푸드테크 R&D 투자 강조
첨단 기술 계열사 시너지 통한 주방 자동화·스마트 조리 시스템 추진
아워홈은 이외에도 비핵심 부동산 자산 매각을 추가로 검토 중이다. 2023년 말 기준 아워홈이 보유한 토지·건물 자산은 총 5675억원(토지 1723억원, 건물 3952억원) 규모다.
이번 매각은 한화그룹 3남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부사장이 주도하는 미래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김 부사장은 푸드테크 R&D 투자와 함께 핵심 사업인 식자재 유통 및 단체급식 부문 강화를 향후 성장축으로 제시해왔다.
특히 지난 8월 아워홈은 신세계푸드의 급식사업 부문을 약 1200억원에 인수하며 급식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섰다. 인수 대금은 보유 현금과 차입금으로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 아워홈의 현금성 자산은 1176억원 수준으로 추가 자금 확보가 불가피했다.
재무건전성 강화 필요성도 크다. 한화 인수 전 단기차입금을 3분의 1 수준으로 줄였으나 여전히 지난해 기준 1106억원대의 단기차입금을 보유하고 있다. 부채비율 역시 88.6%로 2017년 대비 두 배 수준이다.
한편 아워홈은 푸드테크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김 부사장은 그룹 내 첨단 기술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통해 '푸드테크' 기업으로의 혁신을 선언한 바 있다. 핵심 성장 전략으로는 '기술 혁신'을 꼽았다. 로봇 등을 활용한 주방 자동화 시스템 구축, 스마트 조리 시스템 도입 등이 목표다.
아워홈 관계자는 "자산 효율화를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나 아직까지 결정된 부분은 없다"고 말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다혜 기자
kdh0330@newsway.co.kr
뉴스웨이 서승범 기자
seo610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