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서울

인천 18℃

백령 17℃

춘천 15℃

강릉 14℃

청주 19℃

수원 19℃

안동 17℃

울릉도 20℃

독도 20℃

대전 20℃

전주 24℃

광주 26℃

목포 27℃

여수 22℃

대구 20℃

울산 20℃

창원 23℃

부산 22℃

제주 27℃

산업 회장 정의선 5년, 현대차그룹 글로벌 2위 오르다

산업 자동차

회장 정의선 5년, 현대차그룹 글로벌 2위 오르다

등록 2025.10.13 09:54

김다정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정의선 회장 취임 5년간 현대차그룹 글로벌 프런티어로 도약

코로나19, 공급망 위기 등 불확실성 속에서도 판매·수익성 대폭 성장

친환경차, 신사업, 조직문화 혁신 등 다방면 성과

숫자 읽기

2019년 대비 2024년 현대차·기아 합산 매출 163조→282조원

영업이익 5.6조→26.9조원, 380% 급증

2022년 글로벌 판매 3위, 2024년 상반기 영업이익 기준 2위

친환경차 리더십

전기차·하이브리드·수소차 등 친환경차 라인업 24종→45종 확대

2019년 37만대→2023년 141만대, 누적 700만대 돌파

글로벌 수소차·하이브리드·전기차 시장 상위권 유지

미래 신사업 드라이브

로보틱스, 수소 밸류체인, PBV, SDV, AAM 등 신사업 적극 추진

보스턴다이나믹스 인수, 글로벌 로봇 공장 신설

수소 브랜드 HTWO, PBV 전용공장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

향후 전망

2030년 친환경차 563만대 판매 목표

미국·유럽 등 각국 보호무역·전기차 수요 둔화 대응 전략 강화

신사업 수익성 제고, 글로벌 인재 확보 및 혁신 지속

전기차 혁신, 하이브리드 전략으로 친환경차 시장 선도폭스바겐·토요타 제친 영업이익률, 신사업 수익성 강화로보틱스·수소사업·AAM까지 미래 모빌리티 비전 제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제공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오는 14일 취임 5주년을 맞는다. 정 회장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내연차 환경규제 강화, 공급망 재편 등 각종 불확실성 속에서도 '퍼스트 무버'를 자처하며 현대차그룹을 '글로벌 프런티어'로 진화시키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그룹 수석부회장으로 승진한 지 2년 1개월 뒤인 2020년 10월 그룹 회장에 선임됐다. 아버지인 정몽구 당시 회장은 명예회장으로 추대됐다. 이후 코로나 팬데믹으로 자동차산업은 물론 전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진 상황에서 해외 시장 판매를 확대하고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 등 친환경차 모델을 늘리는 등 성과를 냈다.

그 결과, 회장으로 취임한 지 2년 뒤인 2022년 처음 글로벌 판매 3위에 올랐다. 올해도 미국발(發) 관세 위기 속에서 상반기 영업이익 기준으로 글로벌 2위를 차지했다.

정의선 회장은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도 현대차그룹을 근본적으로 탈바꿈시켰다. 양복 정장에서 청바지 티셔츠로의 복장 변화가 상징하는 수평적이고 창의적인 조직문화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집요하게 도전하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정착시켰다는 평가다.

정 회장은 올해 유럽에서 가진 타운홀미팅에서도 "임직원 여러분들이 만들어 가는 조직문화는 무한한 가능성을 현실화할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서로를 믿고 모두의 역량을 어떻게 극대화해야 할지 고민한다면 우리는 함께 위대한 결과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밝힌 바있다.

글로벌 톱3 도약···정의선 리더십 하에 '글로벌 톱티어' 위상 공고


정의선 회장 취임 이후 지난 5년간 현대차그룹은 판매·경영실적 등 다양한 부문에서 놀라운 성장을 이뤄냈다.

시장에서는 코로나19와 지정학적 리스크, 공급망 위기, 세계 통상 질서 재편 등 경영 환경을 둘러싼 각종 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현대차그룹이 이뤄낸 성과에 주목하고 있다.

2019년 글로벌 완성차 판매 5위였던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세계 시장에서 총 723만여대의 차량을 판매하며 2022년 이후 이어지고 있는 일본 토요타, 독일 폭스바겐과의 3강 체제를 굳게 지켰다.

현대차·기아의 합산 매출액은 2019년 163조8924억원에서 2024년 282조68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합산 영업이익은 5조6152억원에서 26조9067억원으로 380% 급증했다. 2022년부터 3년 동안 매해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경신한 것이다.

특히 현대차·기아는 올 상반기 극도로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도 13조86억원의 합산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반기 기준 사상 처음 글로벌 2위에 올라섰다. 영업이익률은 8.7%로 폭스바겐(4.2%)을 비롯한 경쟁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을 2배 이상 상회했다.

정 회장의 리더십 아래 체계적이고 발 빠른 전동화 전략, 전기차의 일시적 수요 정체에 맞선 하이브리드차 라인업 강화,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확대 등으로 글로벌 톱티어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다는 평가다.

현대차·기아는 올 상반기 글로벌 누적 판매 200만대를 돌파한 전기차와 반기 기준 처음으로 60만대 판매량을 돌파한 하이브리드차(PHEV 포함)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 잡았다.

SUV·제네시스 등 고부가가치 차종도 성장에 기여했다. 지난 5년간 현대차와 기아가 해외 판매한 RV 평균 가격은 각 114%(3459만→7387만원) 및 58%(4045만→6383만원) 증가했다.

정의선 회장이 브랜드 출범 전 과정을 진두지휘한 제네시스의 경우 품질과 디자인 경쟁력 등을 인정받으며 독창적 럭셔리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글로벌 판매량 역시 2019년 7만135대에서 2024년 22만9532대로 크게 증가했다.

현대차그룹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모빌리티 연구 및 혁신 허브인 국내에 올해에만 역대 최대 규모인 24조 3,000억원을 투입해 차세대 제품 개발, 핵심 신기술 선점, 전동화 및 SDV 가속화 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는 현지 공급망을 확대하고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친환경차 중심으로 완성차 사업 재편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수소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파워트레인별 친환경차 판매량이 일제히 최상위권에 포함된 업체는 현대차그룹이 유일하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올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PHEV 포함) 인도량 순위에서 7위를 차지했다. 자국 브랜드 판매 비중이 높은 중국 시장을 제외하면 폭스바겐, 테슬라에 이어 3위에 해당한다.

같은 기간 글로벌 수소전기차 판매량은 1300여대로 1위를 기록하며 2위인 토요타의 판매량 700여대를 두 배 가까이 앞섰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조사 결과 하이브리드차도 '글로벌 최대 격전지' 미국 시장에서 올 1분기 판매 3위에 오르며 존재감을 나타냈다.

현대차그룹은 경쟁력을 갖춘 다양한 모델을 앞세워 매년 친환경차 판매 기록을 경신해오고 있다.

2019년 현대차그룹 친환경차 판매량은 37만여대에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4배가량 증가한 141만여대로 집계됐다. 2022년 이후 연간 1백만대 이상 판매가 이어지면서 2019년 138만여대에 머물렀던 친환경차 누적 판매대수는 올 상반기 700만대를 돌파했다.

전체 판매에서 친환경차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9년 5.1%에서 지난해 19.4%로 급등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된 현대차그룹 차량 10대 중 2대는 친환경차였던 셈이다.

이러한 성과는 정의선 회장의 의지와 리더십 아래 현대차그룹이 지난 5년간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도입 ▲전기차 생산능력 확충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 확대를 위한 혼류 생산 시스템 가동 ▲경쟁력 있는 수소전기차 출시 등 친환경차로의 체질 혁신을 진행한 결과라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현대차그룹은 다양한 친환경 파워트레인을 기반으로 2019년 24종이던 친환경차 모델을 현재 45종까지 확대해 고객 선택의 폭을 크게 넓혔다.

여기에 지난해 현대차그룹 최초의 전기차 전용공장인 광명 EVO Plant 준공, 인도네시아 배터리셀-전기차 생산체제 구축 등에 이어 올해는 미국에 HMGMA(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건설해 주력 전기차 모델을 생산하는 등 생산능력도 확충했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 지배력을 더 확대하기 위해 ▲2030년 친환경차 563만3000대 판매 ▲2030년 하이브리드 모델 28종 확대 ▲2027년 EREV(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출시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도입 ▲아이오닉 3 등 현지 전략형 전기차 출시 지속 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국내 최대 전기차 공장인 현대차 울산 EV 전용공장, 국내 최초 PBV 전용공장인 기아 화성 EVO Plant 등 신규 국내 생산거점을 통한 안정적인 친환경차 공급망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그래픽=박혜수 기자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그래픽=박혜수 기자

적극적인 신사업 개척···모빌리티 경계 확장


글로벌 프런티어로서 현대차그룹은 미래 신사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실제로 정의선 회장은 "모빌리티의 경계를 확장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8년 로보틱스랩을 신설한 데 이어 글로벌 최고 수준의 로봇 기술을 내재화하기 위해 2021년 세계적 로봇 전문기업인 보스턴다이나믹스를 인수했다. 로보틱스를 모빌리티 산업 밸류체인에 선제적으로 편입시키며 고객의 이동 경험을 완전히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한 차원이다.

최근에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비롯해 물류로봇, 서비스로봇, 웨어러블로봇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 구축을 통해 인본주의 가치 실현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미국에 3만대 규모의 로봇 공장을 신설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수소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조성하는 데도 집중하고 있다. 정 회장은 "수소 에너지로의 전환은 현재가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한 것"이라며 수소 비전을 밝힌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수소 생산부터 저장, 운송, 활용에 이르기까지 밸류체인 전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세계 최초의 수소 브랜드이자 비즈니스 플랫폼인 'HTWO'를 출범시켰다. 이를 통해 수소 밸류체인 모든 단계에 설루션을 제시하며, 수소 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 실행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나아가 수소 산업의 확장을 위한 실질적 협력도 주도하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2019년 수소 경제 발전을 위한 선도 기업들의 협의체인 수소위원회(Hydrogen Council)의 공동 의장을 맡아 세계 수소 산업 아젠다 개발을 이끌었다. 2024년부터는 장재훈 부회장이 공동 의장에 취임해 글로벌 협력 체계를 더욱 견고히 다져가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중 수소 선도 도시와 '수소 산업 협의체' 구성 ▲한·일 의원연맹의 '수소 협력 네트워크' 참여 ▲토요타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과 기술 협력 등 국경과 산업의 경계를 초월한 협력으로 수소 사회 실현을 앞당기고 있다.

구체화되고 있는 PBV는 현대차그룹이 고객 중심의 비전을 현실화하는 상징적 분야다. PBV는 제조사 중심의 생산, 판매 방식에서 벗어나 모빌리티 서비스와 물류, 레저 활동 등 고객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신개념 모빌리티다.

기아는 혁신적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을 갖춘 PBV 전용공장 화성 EVO Plant와 고객 맞춤형 개조 시설인 'PBV 컨버전 센터'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차량과 서비스를 제공해 다양한 고객과 지역사회의 수요를 충족시킨다는 계획이다.

안전하고 편안한 이동의 자유와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위한 SDV 사업도 경쟁력 있는 제품과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내년 3분기에는 SDV 페이스카(Pace Car)를 제작해 실증 테스트에 돌입하고, 2027년 말부터는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양산차에 순차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SDV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엔드 투 엔드 딥러닝 모델 기반의 'Atria(아트리아) AI'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42dot 및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Motional)과 해당 기술 구현을 위해 적극 협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웨이모(Waymo)와 같은 글로벌 자율주행 서비스 업체에 차량 플랫폼을 공급하는 파운드리 사업도 확대 중이다.

지상에서 하늘로 이동의 경계를 확장하는 AAM은 2021년 AAM 전담 법인 슈퍼널(Supernal)을 설립해 최근까지 미래항공 교통분야 기술개발을 위한 기반을 구축했다.

글로벌 통상 리스크, 전기차 수요 둔화 등 해법 모색


지난 5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룬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톱티어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글로벌 통상 리스크 관리, 전기차 수요 둔화 대응, 신사업 수익성 제고 등 핵심 현안에 대한 다양한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공급망 다각화, 탄력적 생산·판매 등 시장별로 최적화된 전략을 통해 미국의 관세 조치 등 각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해 재편되고 있는 세계 통상 질서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전기차 수요의 일시적 정체 대처를 위해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 EREV 및 수소전기차 지속 출시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전용 전기차의 앞선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역 특화 상품성을 갖춘 신형 전기차들을 유럽, 중국, 인도 시장에 순차적으로 선보이는 등 수요 회복 이후에 대비한 전략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과감한 투자와 연구를 통해 로보틱스, 수소, SDV, PBV, AAM 등 주요 신사업의 수익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동시에 각 분야에 필요한 핵심 인재를 확보하고, 혁신 DNA를 조직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