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덕 의원은 8일 국회 소통관에서 'MBK 자구노력 없는 일방적 홈플러스 폐점 계획 철회 및 회생법원 즉각 조치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진보당 홈플러스 대책위원회, 마트산업노동조합 등도 함께 참여했다.
민 의원은 "3일 홈플러스는 임대인과 협상이 결렬됐다며 총 15개 점포를 연내 폐점할 계획임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며 "확인 결과 MBK가 임대료 삭감안을 일방적으로 제시하고 성실한 협의조차 진행하지 않은 채 협상을 중단시킨 것으로 드러났다"고 알렸다.
이어 "이는 회생절차의 핵심인 회사의 존속과 채무자의 재건이 아닌, 사실상 청산 절차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한 무리한 구조조정"이라며 "수천 명의 노동자와 입점업주, 지역 상권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 의원은 또 "이번 대규모 폐점 발표의 책임은 대주주 MBK파트너스와 관리·감독 책임을 다하지 못한 회생법원에 있다"며 "MBK는 회생절차 이후에도 실질적인 자구 노력 없이 회사를 부실화시켰다"고 주장했다. 지난 10년 간 홈플러스를 재무적 이익 추구의 수단으로만 활용하며, 그 부담을 고스란히 홈플러스와 노동자들에게 전가했다는 지적이다.
더불어 민 의원은 MBK가 일으킨 홈플러스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회생법원이 감독권을 행사해 MBK의 홈플러스 점포 폐점을 막을 것 ▲MBK와 홈플러스는 15개 점포 폐점 발표를 재검토하고 중단할 것 ▲회생법원은 관리·감독권을 강화해 MBK의 일방적 행위를 제어할 것 ▲노동자·입점업주·채권자 등 이해관계자를 대표하는 공동 관리위원을 즉각 선임할 것 ▲MBK는 청산이 아니라 자구 노력으로 회생절차 정상화에 나설 것 등 총 다섯 가지를 요구했다.
민 의원은 "회생법원은 점포 폐점 무효를 선언하고 책임을 다하라"며 "MBK도 더 이상 홈플러스를 훼손하지 말고 정상화에 나서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와 정치권은 공적 책임을 다하고 회생절차 정상화를 위해 즉각 개입하라"며 "회사는 팔 수 있어도 노동자의 삶은 팔 수 없다"고 꼬집었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MBK와 홈플러스에 대한 청문회 개최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르는 분위기다.
앞서 지난 5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민 의원은 "홈플러스를 인수해서 먹튀하려 하고 있다고 의심하는 MBK의 부도덕한 경영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며 "9월에 청문회를 하지 않으면 MBK에 대해 정무위는 입으로는 청문회를 한다 해 놓고 결국은 1년 넘게 안 한 정무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정무위원회 야당 간사인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도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민주당 간사와 협의해 청문회 개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다.

뉴스웨이 신지훈 기자
gam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