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家 권력형 비리·임원 횡령에 상장폐지 위기 직면9.5% 폭락 후 3거래일째 매매 중단···내달 2일 결정정부, 지역주택조합 사업 구조 개선에 불확실성 UP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서희건설은 이날로 사흘째 거래가 정지된 상태다. 거래정지 직전 김건희 여사 반클리프 목걸이 선물 의혹으로 김건희 특검팀으로부터 압수수색을 받으면서 서희건설 주가는 3거래일 간 9.53% 급락한 상태였다. 해당 목걸이는 김 여사가 2023년 6월 나토(NATO) 순방 당시 착용했다.
결국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이 2022년 3월 비서실장 최씨를 통해 목걸이를 구입해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했다는 취지의 자수서를 전날 특검팀에 제출하면서 해당 의혹은 사실로 드러났다. 특검팀은 이 회장의 맏사위 박성근 전 검사가 윤석열 정부 고위직에 임명되는 것을 대가로, 서희건설 측이 김 여사 측에 목걸이를 제공한 것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
그러나 서희건설이 거래 정지에 이른 건 '김건희 리스크'가 아닌 현직 부사장의 13억원대 횡령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거래정지 당일이던 지난 11일 서희건설은 한국거래소의 요구로 개발 부문 송모 부사장 구속기소 10여 일 만에 횡령·배임이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경기 용인시 보평역 서희스타힐스 아파트 지주택 사업 관련 전직 조합장과 결탁해 공사비를 385억원으로 증액하고, 그 대가로 송 부사장이 13억7500만원을 착복한 혐의다. 현재 송 부사장과 전 조합장 등은 구속 기소됐다.
횡령 사고로 서희건설은 상장적격성 심사를 받게 됐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르면 임원이 10억원 이상 횡령·배임을 저지른 경우는 상장적격성 실질 심사 사유에 해당된다. 한국거래소가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판단하기 전까진 서희건설의 거래정지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질심사 대상이 되면 기업심사위원회를 열어 상장적격성 여부를 평가하게 되고,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매매거래정지가 해제된다.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결정 기한은 내달 2일까지다.
서희건설의 위기는 정치 리스크가 불거지기 전부터 진행 중이었던 셈이다. 서희건설은 지역주택조합 분야에서 역량을 쌓으며 성장해 온 중견 건설사로, 올해 3월 기준 누적 수주액이 10조원에 달한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는 과도한 추가 분담금 요구 등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맹점을 지적하며 당국이 제도 정비에 착수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광주 타운홀 미팅(지역 현안 청취 모임)에서 사실상 서희건설을 지목해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실태 점검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국토교통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계 기관은 이달 말까지 갈등이 벌어진 사업장에 대해 합동 특별 점검을 진행 중이다.
경영 불확실성 확대와 상장폐지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일부 소액주주들 사이에서는 이 회장을 향한 강한 불만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한 서희건설 주주는 "임원 횡령으로 거래 정지와 상장폐지 가능성이 생겼을 뿐만 아니라 권력형 비리로 주주에게 끼친 손해가 막심하다"며 "오너 일가에 손해배상청구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토로했다.
주가 전망을 두고 서는 많이 엇갈리지만 증권가에서는 정치 리스크와 횡령 사건이 주가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증권가 한 관계자는 "서희건설은 누적수주액 10조원, 수주잔고는 2조원을 보유하고 있어 탄탄한 규모를 갖추고 있다"면서 "다만 지방 미분양 확대와 청구공사액 증가, 영업현금흐름 악화 등 재무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정치리스크와 횡령 사건까지 터져 주가 역시 재평가 받을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관계자는 이어 "앞으로 실적과 건설경기 회복,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의 움직임을 면밀하게 살펴봐야 한다"며 "현재로서는 긍정적 전망보다는 부정적 전망이 더 강하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유선희 기자
poin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