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 서울 33℃

  • 인천 33℃

  • 백령 27℃

  • 춘천 33℃

  • 강릉 30℃

  • 청주 27℃

  • 수원 31℃

  • 안동 25℃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25℃

  • 전주 25℃

  • 광주 26℃

  • 목포 25℃

  • 여수 23℃

  • 대구 24℃

  • 울산 24℃

  • 창원 24℃

  • 부산 24℃

  • 제주 28℃

증권 HJ중공업, MASGA 업고 주가 70% 급등···수혜주로 급부상

증권 종목

HJ중공업, MASGA 업고 주가 70% 급등···수혜주로 급부상

등록 2025.08.12 13:35

수정 2025.08.12 15:25

유선희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HJ중공업 주가가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 '마스가' 수혜 기대감에 급등

한국토지신탁 등 주요 투자자 차익 실현 움직임 본격화

숫자 읽기

HJ중공업 주가 올해 들어 70.48% 급등

한국토지신탁 측, 654만여 주 매도해 약 594억원 회수

매각가 대비 두 배 가까운 시세차익

배경은

HJ중공업, 1937년 설립 후 한진중공업 등 여러 차례 변신

2021년 에코프라임 마린퍼시픽이 최대주주로 등극

한국토지신탁, 동부건설 등 주요 출자자

현재 상황은

미 해군 함정정비협약(MRSA) 체결 추진 중

부산·경남 조선기업들과 MRO 사업 역량 강화

부산 영도조선소, 미 해군 특화 조선소 후보로 거론

향후 전망

MRSA 체결 시 미국 시장 수주 확대 기대

차익 실현에 따른 오버행 부담 존재

MRO 사업 실적 쌓이면 군함 건조사업에도 긍정적 영향 예상

Quick Point!

HJ중공업 주가가 미국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 수혜 기대감에 급등

한국토지신탁 등 주요 투자자 차익 실현 본격화

미 해군 함정정비협약(MRSA) 체결 시 미국 시장 진출 가능성 부각

숫자 읽기

HJ중공업 주가 이달 들어 70.48% 급등

주당 2000원대에서 1만5190원까지 상승

에코프라임 마린퍼시픽, 10차례에 걸쳐 654만5547주 매도, 약 594억원 회수

배경은

HJ중공업은 1937년 설립, 조선·건설 양대 사업 영위

2016년 채권단 관리 후 2021년 최대주주가 에코프라임 마린퍼시픽으로 변경

한국토지신탁·동부건설 등 주요 주주, 최근 높은 시세차익 실현

맥락 읽기

MRSA 체결 시 미국 MRO 사업 수주 확대 기대

부산 영도조선소, 미 해군 특화 조선소 후보로 거론

에코프라임마린퍼시픽 지분율 58.99%, 오버행 부담 존재

향후 전망

미 해군과 협업 실적 쌓이면 군함 건조사업에서도 유리

MRO 사업 확대로 장기 성장 모멘텀 확보 가능성

차익 실현 매물, 단기 주가 부담 요인

미 MRSA 협약 체결 추진·마스가(MASGA) 수혜 주목최대주주 에코프라임마린퍼시픽, 3월부터 지분 매도

HJ중공업, MASGA 업고 주가 70% 급등···수혜주로 급부상 기사의 사진

HJ중공업 주가가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테마에 올라타며 모처럼 기지개를 켜고 있다. 특히 주요 출자자들이 보유한 주식 가치도 인수가에 두 배 이상 뛰어 올랐다.

12일 오전 11시 3분 기준 HJ중공업은 전 거래일 대비 2.01% 상승한 1만5190원을 가리키고 있다. 지난해까지 2000원대에서 거래되던 HJ중공업은 올해 들어서면서 조선주 강세에 따라 오름세를 타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지난달 말 함정 유지·정비·보수(MRO) 미국 시장 진출 선언으로 마스가 수혜가 부각되며 이달 들어서 70.48% 급등했다.

HJ중공업은 올해 초부터 현재 미 해군 함정정비협약(MRSA) 체결에 공을 들이며 현지 사업 확대를 모색 중이다. MSRA는 미 해군이 지정한 조선소와 체결하는 사전 자격 협약으로, 해당 협약 없이는 미국 함정 정비 사업에 입찰이 불가능하다. 현재는 부산·경남 조선 관련 전문기업 10개사와 클러스터 협의체를 꾸려 MRO 사업을 위한 역량 확보에 나섰다.

1937년 7월 10일 설립된 조선중공업을 모태로 한 HJ중공업은 현재 조선부문과 건설부문으로 주력 사업이 나뉜다. 몇 차례 손바뀜 끝에 한진계열 기업에 양도돼 1990년 6월 한진중공업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후 2007년 8월 인적분할 방식에 따라 한진중공업홀딩스로부터 분할 신설된 법인이 HJ중공업의 전신 한진중공업이다.

그러나 현재 HJ중공업의 최대주주는 PEF 에코프라임 마린퍼시픽으로, 한진중공업홀딩스가 아니다. 한진중공업은 업황이 어려워지면서 2016년 산업은행 등 채권단 관리에 들어갔다. 2021년 채권단은 동부건설 컨소시엄이 만든 유한회사 에코프라임 마린퍼시픽에 한진중공업 지분 66.85%(3257억원)를 매각하면서 최대주주 역시 교체됐다. 한진중공업이 HJ중공업으로 이름을 바꾼 것도 이즈음이다.

에코프라임 마린퍼시픽 주요 주주는 한국토지신탁과 동부건설, NH PE·오퍼스PE 4곳이다. 특히 동부건설 최대주주는 PEF 키스톤에코프라임으로, 한국토지신탁이 주요 출자자다.

올해 들어 에코프라임 마린퍼시픽은 10차례에 걸쳐 총 654만5547주를 장내매도했다. 평균 처분단가는 9069원으로 약 594억원을 회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채권단 매각 당시 매각가액이 주당 5851원에 책정된 점을 고려하면 두 배에 가까운 시세차익을 거둔 셈이다.

증권가에선 MRSA가 체결되면 미국 MRO 사업 수주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마스가 프로젝트 지원법에 따라 국내 미 해군 특화 조선소 후보 중 하나로 HJ중공업의 부산 영도조선소가 거론되는 중이다. 차익 실현으로 인한 오버행(잠재적 매도 물량)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이달 초 기준 에코프라임마린퍼시픽의 지분율은 58.99%다.

오준호 스터닝밸류리서치 연구원은 "HJ중공업은 지난 1974년 국내 첫 함정부문 방위산업체로 지정된 이후, 국내에서 가장 많은 군함 건조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며 "MRO 사업을 통해 미 해군과 협업한 실적을 쌓으면 장기적으로 군함 건조사업에서도 유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