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집중호우 등 피해로 상반기 순이익↓CSM은 증가···보장성·장기보험 확대 영향K-ICS 비율 등 재무 건전성 지표도 안정적
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전일 농협생명은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한 1547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회사 측은 실적 하락 배경으로 실손의료보험과 정책보험 등 보험금 지급이 늘어난 점을 꼽았다. 보험사고는 발생했지만 고객이 아직 청구하지 않은 보험금을 의미하는 미발생보고손해액(IBNR)이 늘어난 점도 실적에 부담이 됐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농협손보도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7% 감소한 87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농협손보는 올 초 강원·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과 여름철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에 따른 보험금 지급 증가가 주요 실적 감소 요인이라고 밝혔다. 농작물재해보험 피해가 심화된 점도 순이익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앞서 양사는 올 1분기 실적에서도 전년 대비 실적이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회사 특성상 농업인과 지방 거주자의 가입 비중이 높은 만큼, 올 초 산불 피해로 인해 보험금 지급 규모가 늘어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산림청이 집계한 올해 초 산불 피해 면적은 10만4788헥타르(ha)로 1986년 산불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피해가 컸다. 또 사상자도 86명(사망 32명, 부상 54명)으로 예년보다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국내 농작물재해보험을 독점적으로 취급하고 있는 농협손보의 경우, 작물 피해 급증으로 실적에 타격이 컸을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농협손보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61.8% 감소한 204억원으로 집계됐다. 당시 관련한 보험금 청구가 추가로 예고되는 한편, 폭염과 집중호우 등으로 추가 피해가 예고되면서 실적 부진 우려를 키우기도 했다.
다만 눈길을 끄는 것은 양사 모두 이 같은 실적 부진에도 영업 경쟁력을 키워 수익성 지표를 전년 대비 개선시켰다는 점이다. 실제 농협생명은 국제회계기준(IFRS17) 하에서 보험사의 미래 수익성을 나타내는 계약서비스마진(CSM)이 올해 초 대비 약 1000억원 증가한 4조6650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농협손보도 연초보다 800억원 높은 1조5909억원의 CSM을 기록했다.
이 같은 배경에는 농협생명과 농협손보가 각각 보장성보험과 장기보험을 중심으로 상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해온 점이 있다. 실제 올 상반기 농협생명의 보장성보험 월납환산보험료(APE)는 전년 동기 대비 34.7% 증가한 800억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농협손보도 장기보험 확대 전략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관련 상품 판매를 지속하고 있다.
아울러 양사는 선제적으로 리스크에 대응해 재무 건전성도 안정적으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말 기준 농협생명과 농협손보의 지급여력비율(K-ICS)은 경과 조치 전 기준으로 각각 258.0%, 172.8%를 기록해, 금융당국의 권고 기준인 150%를 상회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당초 전망됐던 실적 감소보다는 양호한 수준으로 보인다"며 "상반기 양사 실적을 보면 보장성보험과 장기보험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수익성 기반을 다진 점이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수익성 체력을 키워가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명재 기자
emzy0506@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