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협회 주관 TF 발족···법제화 등 논의업권 공동 상표 출원·인프라 협업 등 검토원화 스테이블코인 수요 예측 두고 '신중'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나 원자재 등 실제 자산에 연동해 가치를 고정한 디지털 자산을 말한다. 변동성이 큰 기존 암호화폐와 달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한다는 특성이 있어 차세대 결제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3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여신금융협회는 전업 카드사 8곳(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우리·하나·BC카드)과 스테이블코인 이슈 전담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진행했다.
이날 카드사들은 TF에서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와 관련한 회사 및 업권 차원 대응 방안과 역할 등을 논의했다. 스테이블코인이 상용화될 경우 향후 결제시장 경쟁구도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견되기 때문이다.
스테이블코인은 카드사·은행·PG사 등 중개자를 거치지 않아 수수료 없이 24시간 실시간 결제·정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생활 결제 수단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이에 국내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카드업계의 결제시장 입지를 위협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국내에서도 관련 법안이 잇따라 발의되며 도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앞서 지난 2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스테이블코인을 제도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가치 안정형 디지털자산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같은 날 국민의힘 원내정책수석부대표인 김은혜 의원도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자는 취지의 '가치고정형 디지털자산을 활용한 지급 혁신에 관한 법률안'을 발의한 바 있다.
카드업계는 현재 TF 외에도 다각도로 스테이블코인 대비를 서두르고 있다. 카드업계 전체가 참여해 공동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경우에 대비해 여신협회를 필두로 공동 상표권 발행을 준비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무를 겸영·부수업으로 추가하는 방향의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향후 스테이블코인 발행 주체와 협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결제 환경을 새로 구축하는 데 드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기존에 충분히 다져놓은 인프라와의 연계로 효율화를 꾀하겠다는 복안이다.
다만 도입 초기인 만큼 아직은 조심스럽다는 입장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어떤 방식으로 구현될지, 제도는 어떻게 정비될지 아직 초기 단계라 확실한 방향성을 정하기 어렵다"며 "특히 달러가 아닌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근본적인 수요 예측이 집계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명재 기자
emzy0506@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