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 서울 29℃

  • 인천 29℃

  • 백령 23℃

  • 춘천 31℃

  • 강릉 30℃

  • 청주 29℃

  • 수원 29℃

  • 안동 30℃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31℃

  • 전주 31℃

  • 광주 30℃

  • 목포 30℃

  • 여수 30℃

  • 대구 33℃

  • 울산 30℃

  • 창원 31℃

  • 부산 29℃

  • 제주 28℃

산업 'EV 쇼크'...4년 전으로 뒷걸음질 친 현대차

산업 자동차

'EV 쇼크'...4년 전으로 뒷걸음질 친 현대차

등록 2025.07.22 11:34

신지훈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현대차그룹의 미국 전기차 수출이 1~5월 기준 88% 급감

2021년 전동화 전략 본격화 이후 최저 수준

현지 생산 확대와 판매 부진이 원인

숫자 읽기

올해 1~5월 미국 수출 전기차 7156대, 전년 동기 5만9705대 대비 88% 감소

현대차 3906대(87%↓), 기아 3250대(89.1%↓)

2021~2023년 꾸준히 증가하다 올해 급락

맥락 읽기

미국 현지 전기차 생산 확대에도 판매 부진 지속

현대차그룹 상반기 미국 판매량 4만4555대로 작년 대비 28% 감소

미국 전체 전기차 시장은 5.2% 성장해 현대차만 역성장

향후 전망

9월 전기차 세액공제 종료로 시장 경쟁 심화 예상

한경협, 현대차그룹 연간 미국 판매 최대 4만5828대 감소 전망

국내 생산 기반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 확대

현재 상황은

현대차 울산공장 전기차 생산라인 휴업 올해만 5회

수출 감소와 판매 부진이 국내 공장에도 영향

생산 조정 등 구조 변화 불가피

현대차그룹 對美 전기차 수출 88%↓현지 생산 확대·시장 판매 부진 영향세액공제 종료 앞두고 추가 위축도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경. 사진=현대차그룹 제공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경.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의 대미(對美) 전기차 수출이 급감했다. 전동화 전략을 본격화한 2021년을 제외하면 가장 작은 수출 규모다. 현지 생산량 확대와 판매 부진 여파다.

하반기 전망도 어둡다. 오는 9월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가 종료되면 현지 시장 상황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현대차그룹의 국내 생산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올해 1~5월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는 7156대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동기(5만9705대)보다 무려 88% 급감한 수치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는 87.0% 감소한 3906대, 기아는 89.1% 줄어든 3250대를 수출했다.

현대차·기아의 대미 전기차 수출은 1~5월을 기준으로 2021년 4441대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2022년 2만8474대 ▲2023년 4만6542대 ▲2024년 5만9705대를 각각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2021년 1만9820대 ▲2022년 6만8923대 ▲2023년 12만1876대 ▲2024년 9만2049대로 올해는 2만대를 넘기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수출 감소는 현대차그룹이 최근 미국에 전기차 생산 기반을 마련한 가운데 현지 판매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탓으로 풀이된다.

그래픽=이찬희 기자그래픽=이찬희 기자

현대차그룹은 올해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준공하고 상반기 아이오닉5 2만8957대, 아이오닉9 4187대를 생산했다. 기아도 지난해 전기차 현지 생산을 시작한 이후 올해 들어 미국에서 EV6 7441대, EV9 7417대를 각각 출고했다.

여기에 현대차·기아가 현지 전기차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는 상황이 겹치며 전기차 수출 수요가 급감한 것으로 해석된다. 워즈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올 상반기 미국에서 판매한 전기차는 4만4555대로 작년 동기보다 28.0% 감소했다.

미국 내 전기차 총판매량이 5.2%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현대차·기아는 역성장한 셈이다. 상반기를 기준으로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이 감소한 것은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전략이 본격화한 2021년 이래 처음이다.

하반기 전망마저도 어둡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 시행으로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가 오는 9월 말로 조기 종료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전기차 판매량이 연간 최대 4만5828대(매출 19억5508만 달러)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일각에선 현대차그룹의 국내 전기차 생산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현대차는 지난 16일부터 21일까지 아이오닉5와 코나EV를 생산하는 울산 1공장 12라인 가동을 중단했다. 이는 올해 들어 5번째 휴업이기도 하다.
ad

댓글